Others VPP, VDC 어떤 FACTOR 인지 알고 싶습니다.
2012.09.07 03:25
안녕하세요. 반도체에 종사하는 엔지니어입니다.
플라즈마에 대한 기초지식이 없어 설비 Trace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도움 요청합니다.
질문
1.VPP가 어떤건지?
2.VDC가 어떤건지?
3.VPP 정상 Trend에서 High Hunting 발생한 경우 왜 그런지?
4.VPP 정상 Trend에서 Low Hunting 발생한 경우 왜 그런지?
5.VDC 정상 Trend에서 High Hunting 발생한 경우 왜 그런지?
6.VDC 정상 Trend에서 Low Hunting 발생한 경우 왜 그런지?
7.플라즈마는 압력,TEMP에 대해서 어떻게 변하는지?
위 7개 항목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참고. 반도체 Batch 장비 , ALD막 생성에 쓰이는 장비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 75424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57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54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63 |
48 | 충돌단면적에 관하여 [2] | 25867 |
47 |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2] | 26293 |
46 | self bias (rf 전압 강하) | 26444 |
45 | OLED에서 SF6와 CF4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1] | 26623 |
44 |
이온과 라디칼의 농도
![]() | 26701 |
43 | 압력과 플라즈마 크기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1] | 26886 |
42 | 플라즈마 온도 | 27073 |
41 | 플라즈마 챔버 의 임피던스 관련 [2] | 27099 |
40 | sheath와 debye shielding에 관하여 | 27396 |
39 | DBD란 | 27402 |
38 | 플라즈마 상태와 RF MATCHING관계 문의 사항 | 27421 |
37 | 탐침법 | 27516 |
36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관계 | 27903 |
35 | esc란? | 27914 |
34 | Arcing [1] | 28144 |
33 | 반도체 관련 질문입니다. | 28537 |
32 |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장치 | 28742 |
31 | [Sputter Forward,Reflect Power] [1] | 28876 |
30 | 플라즈마의 정의 | 29297 |
29 | 물질내에서 전하의 이동시간 | 293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