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glow discharge 플라즈마 살균 방식

2020.06.19 16:13

박희원 조회 수:11332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살균에 대해 이번에 대학에서 과제로 발표를 해야하는 학생입니다. 플라즈마에 대해 계속 찾아보고 있는데,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너무 많아서 이렇게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제가 검색한 바로는 플라즈마 살균(공기청정기)는 고전압플라즈마와 광플라즈마 방식이 있는데, 고전압플라즈마보다 광플라즈마에 맞춰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고 하고, 광플라즈마 특성은 저온에 대기압이고 화학적처리 방식, 오존처리방식, 물리적 처리방식 등이 있다. 

오존처리 방식이 자외선(UVU)를 사용하는 거라는데 맞나요??? 그리고 플라즈마 살균기 동작원리가 궁금합니다. 그냥 외부에 있는 공기를 빨아드려서 내부에서 수산화이온과 산소이온 등으로 분해한후 방출시켜 이온들이 외부에 있는 미세먼지와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건가요? 또한 자외선은 어디에 쓰이는 건가요? 이온을 나눌때 사용이 되나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4] 7574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432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66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798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0210
757 플라즈마를 이용한 물속 세균 살균 질문드립니다. [1] 47
756 CCP 설비 Capacitance 및 Impedance 변화에 따른 Vpp 변동성 문의 63
755 gas에 따른 deposition rate 및 저항질문 있습니다 [1] 67
754 LXcat Dataset에 따른 Plasma discharge 에 대한 질문입니다. [1] 86
753 대기압 플라즈마 문의드립니다 [1] 87
752 standing wave effect, skin effect 원리 [1] 102
751 GWP(Global warming potential)에 따른 Etch gas 변화에 대한 질문 [1] 127
750 화장품 원료의 플라즈마 처리 문의 [1] file 129
749 실리콘 수지 코팅 Tool에 Plasma 클리닝 시 코팅 제거 유/무 [1] 135
748 플라즈마 제균 탈취 가능 여부 [1] 143
747 corona model에 대한 질문입니다. [1] 144
746 RF 스퍼터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155
745 PECVD Uniformity [1] 156
744 Plasma 장비 소재 특성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157
743 메틸기의 플라즈마 에칭 반응 메커니즘 [1] 160
742 RIE Gas 질문 하나 드려도될까요? [1] 178
741 Compressive한 Wafer에 대한 질문 [1] 180
740 RIE 설비 관련 질문 좀 드려도 될까요? [1] 194
739 RF sputter 증착 문제 질문드립니다. [1] file 200
738 PECVD 고온 공정에서 증착 막으로의 열전달 관련 문의드립니다. [1] 20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