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KIST에서 고분자 나노패턴을 연구하고 있는 손정곤 입니다.

RIE를 사용하면서 항상 블랙박스와 같이 루틴하게만 에칭을 위해 사용하고는 했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RIE 시에 형성되는 플라즈마로 인하여, 일반적인 substrate에는 

1. 플라즈마로 인한 E-field가 걸리는 곳에 이온화된 기체 원자가 직접 부딪히며 생기는 효과와

2. reactive한 radical 형태의 중성 입자가 날라와서 반응하는 효과,

2. 플라즈마로 인하여 형성되는 빛, 그러니까 plasma UV/vacuum UV (VUV) photoemissions로 생기는 효과

세 가지가 동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경우에, 3번의 형성되는 빛으로 인한 효과는 막으면서 1,2 번의 ion과 radical의 효과만 얻는 방법이 있을 지 궁금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은 grating mask(complementary filter?)를 교차로 설치하여 빛의 투과는 막으며 이온과 라디칼은 흘러가서 샘플을 때리게 하고 싶은데, 

그렇다면 이 샘플위에 부양시켜 설치하려는 grating mask는 부도체여야 하는지 도체여야 하는지, 도체라면 아래의 RF 전극과 연결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grounding이 되어야 하는 지 등등이 궁금합니다. 

grating mask가 도체면 RIE의 geometry가 변형되어 e-field 등이 변하고 ion의 움직임도 변할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여기에서 많은 것들을 배워갑니다. 감사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7542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15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478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755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9355
628 안녕하세요. Plasma etch rate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636
627 RF 전압인가 시 LF와 HF 에서의 Sheath 비교 [1] 640
626 플라즈마 절단시 C와 N의 결합가능성 [2] 645
625 라디컬의 재결합 방지 [1] 652
624 RPS를 이용한 유기물 식각장비 문의 [1] 665
623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1] 666
622 ICP 후 변색 질문 669
621 코로나 전류가 0가까이 떨어지는 현상 [1] 679
620 ECR ion source에서 plasma가 켜지면 RF reflect가 심해집니다. [2] 679
619 코로나 전류에 따른 발생되는 이온의 수와, 하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681
618 플라즈마 용어 질문드립니다 [1] 686
617 PECVD Cleaning에서 Ar Gas의 역활 [1] 690
616 RF 파워서플라이 매칭 문제 691
615 ICP Dry Etch 진행시 정전기 발생에 관한 질문입니다. [1] 693
614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700
613 Si Wafer에 Plasma를 처리했을때 정전기 발생 [1] 704
612 플라즈마용사코팅에서의 carrier gas [1] 707
611 플라즈마 이용 metal residue 제거방법 문의드립니다. [1] 710
610 Collisional mean free path 문의... [1] 722
609 Shield 및 housing은 ground 와 floating 중 어떤게 더 좋은지요 [2] 72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