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glow discharge 플라즈마가 생기는 메커니즘에 대한 질문입니다.
2012.05.09 19:38
어떤 실험을 하는 도중에 플라즈마가 생기는 과정을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플라즈마에 대해 여러가지 조사를 해보았는 데, 별다른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 질문 해봅니다.
1. 공기 중에서 플라즈마가 생기는 메커니즘이 자세하게 어떻게 되나요??
2. 플라즈마가 양극에서 먼저 생기고 음극쪽으로 다가가는 현상이 나타나는 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3. 플라즈마가 한 쪽 전극으로 끌려가는 현상이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끌려가는 과정도 알고 싶습니다.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03] | 367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5366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0582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3012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2204 |
670 |
AlCu Etch시 Dust 잔존 문제
![]() | 0 |
669 | 방전수 활성종 중 과산화수소 측정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29 |
668 | 스퍼터링 Dep. 두께 감소 관련 문의사항 [1] | 57 |
667 | 반도체 관련 플라즈마 실험 [1] | 57 |
666 | 플라즈마 관련 교육 [1] | 68 |
665 | Dry Chamber VPP 변동 관련 질문입니다 [1] | 101 |
664 | 플라즈마 진단 공부중 질문 [1] | 127 |
663 |
구 대칭으로 편광된 전자기파를 조사할 때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 142 |
662 | RF 파워서플라이 매칭 문제 [1] | 144 |
661 | RF Power 인가 시 Gas Ramping Flow 이유 [1] | 152 |
660 |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1] | 163 |
659 | 공정 진행 중 의도적인 섭동 효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 186 |
658 |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 188 |
657 |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1] | 233 |
656 |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 251 |
655 |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 254 |
654 | Co-relation between RF Forward power and Vpp [2] | 255 |
653 |
연속 Plasma시 예상되는 문제와 횟수를 제한할 경우의 판단 기준
[1] ![]() | 267 |
652 |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 268 |
651 | SiO2 박말 밀도와 반응성 간 상관 관계 질문 [1] | 2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