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Source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2018.09.06 07:36
반도체 공정과 관련하여 DIFF 공정 진행 간, TEMP와 RF 간에 상관 관계가 궁금하여 문의 드립니다.
NH3의 분해와 관련하여 상온 기준 RF POWER를 인가한다고 했을때 분해 가능한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W 기준)
그리고 추가로 문의 드리고 싶은 사항은 TEMP와 RF 간에 상관 관계입니다. TEMP가 변화하는 정도에 따른 RF의 변화 정도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서 문의 드립니다.
정답이 힘들다면 참고 및 이해할 수 있는 답변을 좀 부탁 드립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 7308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44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2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739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108 |
707 | E-field plasma simulation correlating with film growth profile [1] | 20 |
706 | Si 표면에 Ar Plasma Etching하면 안되는 이유 [1] | 54 |
705 | OES를 통한 공정 개선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1] | 57 |
704 | 실리콘 수지 코팅 Tool에 Plasma 클리닝 시 코팅 제거 유/무 [1] | 67 |
703 | Self bias 내용 질문입니다. [1] | 93 |
702 | 정전척의 chucking voltage 범위가 궁금합니다. [1] | 112 |
701 |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1] | 125 |
700 | 챔버 시즈닝에 대한 플라즈마의 영향성 [1] | 126 |
699 | self bias [1] | 129 |
698 | PECVD Cleaning에서 Ar Gas의 역활 [1] | 143 |
697 |
구 대칭으로 편광된 전자기파를 조사할 때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 181 |
696 |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 210 |
695 | 기판표면 번개모양 불량발생 [1] | 213 |
694 | CCP RIE 플라즈마 밀도 [1] | 225 |
693 | plasma modeling 관련 질문 [1] | 239 |
692 | 공정 진행 중 의도적인 섭동 효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 247 |
691 | ESC DC 전극 Damping 저항 | 256 |
690 |
plasma striation 관련 문의
[1] ![]() | 266 |
689 |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거동
[1] ![]() | 270 |
688 | 스퍼터링 Dep. 두께 감소 관련 문의사항 [1] | 2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