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국기계연구원과 전기집진기 관련하여 테스트를 진행중인데,

여기에 플라즈마나 랭뮤어프로브와 유사한 기술이 관련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400mm*400mm 사이즈의 2개의 판재가 200mm 간격으로 배열되어있고, 그 중간 지점에 방전침이 있습니다.

방전판과 방전침 사이에 20kV정도 고전압을 인가하면 파란 방전이 약하게 형성됩니다.

X,Y,Z축으로 움직일 수 있는 모션 스테이지 끝부분에 알루미나로 외부를 절연시킨 탐침침을 고정했습니다.

프로브를 밀어넣어 멀티미터로 측정하여 아래 그림와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2018-09-18_093510.png

저는 단순히 멀티미터에 방전판을 공통라인으로 연결하고 프로브에서 측정하였습니다만.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하여 측정을 해야한다는데, 바이어스전압이 어떤 의미인지? 어떻게 연결하여야하는지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현재는 프로브에 반대극성의 고전압을 연결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생각중에 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59] 7300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7611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551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569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6020
525 플라즈마 형성시 하전입자의 밀도와 챔버에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2] 927
524 plasma 형성 관계 [1] 932
523 ICP, CCP 그리고 Ion Implantation 공정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940
522 Matcher 구성에 따른 챔버 임피던스 영향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959
521 Edge ring과 플라즈마 밀도 균일성 [1] 974
520 플라즈마 코팅 [1] 975
519 Plasma etch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1] 975
518 low pressure 영역에서 아킹이 더 쉽게 발생하는 이유에 관해 문의드립니댜. [1] 981
517 플라즈마 입자 운동 원리(전자기장에서) [1] 981
516 연속 plasma 방전시 RF power drop 및 Reflect 발생 [1] 991
515 부가적인 스퍼터링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992
514 Group Delay 문의드립니다. [1] 994
513 플라즈마 진단에서 rogowski 코일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1003
512 PECVD 증착시 온도, 기판의 종류의 영향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1016
511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1019
510 쉬쓰 천이지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1022
509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1025
508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1030
507 PECVD와 RIE의 경계에 대해 [1] 1038
506 micro plasma에 사용되는 전력을 알고 싶습니다. [1] 103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