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C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2021.06.02 16:54
안녕하세요.
반도체 회사 설비 엔지니어로 관련 200mm conductor etcher 에서 ceramic esc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당 esc 를 운용하면서 공정 진행중 b-he flow error 증가하면서 error 가 발생하고 빈도가 잦아지면 교체를 하게 되는데
해당 esc 분리하여 외부 검증 요청시 표면에 polymer가 증착되어 chucking 을 떨어뜨린다고 합니다.
국내 major 회사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있어서 ISD란 공정을 진행하여 polymer 제거를 하여 he error 를 개선한 이력이 있다고 하여
ISD 공정이 무엇인지..해당 공정 parameter 가 어떤것이지...가능하다면 recipe 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referance 를 문의 드립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 73070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37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2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71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076 |
527 | wafer bias [1] | 912 |
526 |
고전압 방전 전기장 내 측정
[1] ![]() | 920 |
525 | 플라즈마 형성시 하전입자의 밀도와 챔버에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2] | 931 |
524 | plasma 형성 관계 [1] | 939 |
523 | ICP, CCP 그리고 Ion Implantation 공정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943 |
522 | Matcher 구성에 따른 챔버 임피던스 영향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 964 |
521 | 플라즈마 코팅 [1] | 975 |
520 | Plasma etch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1] | 984 |
519 | Edge ring과 플라즈마 밀도 균일성 [1] | 989 |
518 | low pressure 영역에서 아킹이 더 쉽게 발생하는 이유에 관해 문의드립니댜. [1] | 993 |
517 | Group Delay 문의드립니다. [1] | 995 |
516 | 플라즈마 입자 운동 원리(전자기장에서) [1] | 996 |
515 | 연속 plasma 방전시 RF power drop 및 Reflect 발생 [1] | 997 |
514 | 플라즈마 진단에서 rogowski 코일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1005 |
513 | 부가적인 스퍼터링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1005 |
512 |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 1022 |
511 | PECVD 증착시 온도, 기판의 종류의 영향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 1022 |
510 | 쉬쓰 천이지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1023 |
509 |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 1034 |
508 | micro plasma에 사용되는 전력을 알고 싶습니다. [1] | 10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