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식식각 방법에 크게 이온을 이용하는 스퍼터 식각과 라디컬을 이용하는 화학적 식각 그리고 이온, 라디칼 모두를 이용하는 RIE가 있는데 ICP와 CCP로 생성한 플라즈마를 이용해서 물리적,화학적,반응 이온성 식각을 진행하는것으로 이해하면 되는건가요?? 

차이점은 어떠한 가스를 넣느냐에 따라 물리적 식각만 이루어질수도 있고, 화학적 식각만 이루어질수도 있고, RIE식각만 이루어질 수도 있는건가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7542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16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479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7558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9368
328 안녕하세요. O2 plasma etching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 5269
327 RF Vpp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5459
326 O2, N2, Ar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2] 5504
325 코로나방전, 이온풍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file 5587
324 안녕하세요. ICP 플라즈마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문의를 드립니다. [3] 5592
323 RF calibration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5635
322 OES를 활용한 excitation temperature 분석 질문입니다. [1] 5818
321 RPS를 이용한 NF3와 CF4 Etch Rate 차이 [4] 5843
320 모노실란(SiH4) 분해 메카니즘 문의 5877
319 Matcher의 Load, Tune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궁금합니다. [2] 6072
318 자료 요청드립니다. [1] 6143
317 O2 플라즈마 표면처리 관련 질문2154 [1] 6177
316 O2 plasma, H2 plasma 처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6298
315 공동형 플라즈마에서 구리 전극의 식각 문제 [2] 6304
314 플라즈마 건식식각 장비 부품 정전척 공정 진행 후 외각 He-hole 부위 burning 현상 매카니즘 문의.. [1] 6356
313 액체 안에서의 Dielectric Barrier Discharge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6381
312 플라즈마 데미지에 관하여.. [1] 6383
311 플라즈마 기술관련 문의 드립니다 [1] 6387
310 저온플라즈마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ㅠ [1] 6425
309 저온 플라즈마에 관해서 [1] 643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