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
안녕하십니까??
플라즈마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여러가지 면에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RF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이 있어 이렇게 문의를 드리게 되었습니다.
1) RF plasma에서의 plasma sustain mechanism은 sheath oscillation이라 고 책에서 보았는데,, 보충 설명을 부탁드리겠습니다.
2) 그리고 cathode 표면에 유도되는 self bias를 왜 DC 전위라 하는지,,
알고 싶고요,, Vrf = Vdc + V COS wt의 의미도 설명부탁드립니다.
3) 마지막으로 RF POWER 300W를 사용하여 방전실험을 하고 있는데,,
gauge에선 power값만 읽을 수 있는데,, 방전 전압과 방전 전류를 측정할수 있는 방법은 없을런지요??
두서없이 많은 질문을 한거 같은데,, 답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
안테나에 인가되는 전류 전압을 직접 측정하고자 한다면 안테나의 ground 단에 pierson coil등으로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인가되는 전압은 high voltage probe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측정 위치는 모두
M/B 다음단과 안테나 사이에서 측정하여야 실제 안테나 load 전압/전류를 알수 있습니다. 혹은 V-I probe라는
장치를 M/B 전단, 즉 power supply와 M/B 사이에 연결하여 인가되는 전압/전류 곡선을 얻으며 smith chart를
통하여 현재 matching 여건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값으로 실제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의 전류
등에 대한 정보를 유추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 73072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38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2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720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085 |
227 | 좁은 간격 CCP 전원의 플라즈마 분포 논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 | 16322 |
226 | 몇가지 질문있습니다 | 16540 |
225 | nodule의 형성원인 | 16605 |
224 |
ESC Chuck Pit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 | 16657 |
223 | ICP 식각에 대하여... | 16733 |
222 | Virtual Matchng | 16755 |
221 | sputter | 16776 |
» | RF에 대하여,, | 16823 |
219 | 플라즈마 처리 | 16838 |
218 | 형광등으로 부터 플라즈마의 이해 | 16939 |
217 |
PSM을 이용한 Radical측정 방법
![]() | 16946 |
216 | 플라즈마를 이용한 발광시스템에 관한 연구 | 16949 |
215 | Light flower bulb | 17039 |
214 |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 17091 |
213 |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 17110 |
212 | Electrode 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 17128 |
211 | Plasma Dechuck Process가 궁금합니다. | 17160 |
210 | 질문있습니다 교수님 [1] | 17167 |
209 | OLED에서 SF6와 CF4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1] | 17282 |
208 | RF Power에 따라 전자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1] | 172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