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 Plasma DBD plasma
2004.06.21 15:13
DBD plasma
플라즈마 반응시 빛이 보이게 됩니다. 우선 빛의 정체를 보면, 빛을 방출하게 되는 경우는 원자가 여기되었다가 기저 상태로
낮아 지면서 나오는 에너지 차이가 우리가 인지할 수 있는 파장대의 빛으로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이 에너지는 이온화 반응에너지
보다 낮아 이온화 반응과 함께 진행됨으로 빛이 보이면 이온화가 진댕되고 있겠다고 생각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지금 실험하고 있는
상황은 아마도 puls corona 실험을 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혹은 DBD실험일 것입니다. 두 경우 모두 가시적으로 빛이 관찰되지 않는
다면 puls형태의 플라즈마 혹은 DBD플라즈마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corona방전이나, DBD의 경우나 외부
ground전극의 일부가 유리와 같은 유전체로 만들어져 있다고 해서 플라즈마를 만들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오히려 반응기에 제대로
power가 전달되고 있는 가를 점검하여야 할 것입니다.
혹은 빛이 약해서 관찰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주변을 어둡게 하고 실험을 해보기 바랍니다. 이런 경우에는 power electrode
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해 보는 방법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물론 displacement current를 제거를 하고 자료를 관찰해야 할
것입니다.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5] | 7576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53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72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802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318 |
218 |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 중 용어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1] | 17015 |
217 |
PSM을 이용한 Radical측정 방법
![]() | 17021 |
216 | 플라즈마를 이용한 발광시스템에 관한 연구 | 17037 |
215 | Light flower bulb | 17066 |
214 |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 17158 |
213 | Electrode 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 17254 |
212 |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 17342 |
211 |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 17484 |
210 | 유전체 플라즈마 | 17489 |
209 | Plasma Dechuck Process가 궁금합니다. | 17499 |
208 |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 17502 |
207 | RF Power에 따라 전자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1] | 17528 |
206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상호작용 | 17588 |
205 | 불꽃이 쫒아오는 이유 | 17606 |
204 | 충돌 | 17638 |
203 | 플라즈마에서 전자가 에너지를 어느 부분에서.. | 17641 |
202 | 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 17721 |
201 | 플라즈마 온도중 Tr의 의미 | 17724 |
200 | 교육 기관 문의 | 17760 |
199 | QMA에서 electron beam의 generation 과정 [1] | 17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