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플라즈마 관련 실험을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ICP 시스템에서 전자밀도 크기에 대해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Ar, N2, O2 가스환경에서 ICP 시스템을 통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electron density (plasma density)를 측정하였습니다.

동일한 실험조건을 기준으로 (RF power 조건 포함), 

electron density는 Ar > O2 > N2 순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여기서 저는 왜 electron density가 상기와 같은 순서로 발생되는 것인지 궁금하였습니다.

 

첫번째로, Ar 은 10^12 cm-3 정도이나, O2, N2는 10^11 cm-3 정도로 측정되었습니다.

제가 사용한 공정가스는 원자형태의 가스(Ar)와 분자형태의 가스(O2, N2) 입니다.

분자형태의 가스에서는 가속된 전자가 분자사이의 결합을 끊는 dissociation 반응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energy loss가 발생하여 

실제 플라즈마 반응에 들어가는 에너지는 원자형태의 가스에서보다 작아져 electron density가 낮아지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지요?

 

두번째로, O2 에서 electron density는 N2 보다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이는 bonding energy 가 N2(941 kJ/mol)가 O2(495 kJ/mol) 보다 높고, 이온화에너지 또한 N2가 O2 보다 높아

동일한 조건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더라도 n2 에서 energy loss 가 많이 발생하여 electron density 가 낮아지게 되는 것인지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5] 75769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45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67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03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0327
618 플라즈마용사코팅에서의 carrier gas [1] 728
617 Si Wafer에 Plasma를 처리했을때 정전기 발생 [1] 730
616 ICP Dry Etch 진행시 정전기 발생에 관한 질문입니다. [1] 733
615 Si 표면에 Ar Plasma Etching하면 안되는 이유 [1] 738
614 Collisional mean free path 문의... [1] 740
613 새집 증후군 없애는 플러스미 - 플라즈마에 대해서 [1] 752
612 DBD Plasma Actuator 원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752
611 플라즈마 이용 metal residue 제거방법 문의드립니다. [1] 763
610 RF 전류가 흐르는 Shower head를 TC로 온도 측정 할 때 [1] 764
609 플라즈마 충격파 질문 [1] 767
608 연면거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1] 778
607 플라즈마 세정 장비 (CCP구조)에서 자재 로딩 수에 따른 플라즈마 효과 및 Discolor [1] file 781
606 Dry Chamber VPP 변동 관련 질문입니다 [1] 782
605 안녕하세요 플라즈마의 원초적인 개념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1] 784
604 방전수 활성종 중 과산화수소 측정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787
603 매쳐 출력값 검토 부탁 드립니다. [1] 793
602 RIE 공정시에 형성되는 두 효과를 분리해 보고 싶습니다. [1] 795
601 플라즈마 장치 관련 기초적 질문입니다. [1] 797
600 Shield 및 housing은 ground 와 floating 중 어떤게 더 좋은지요 [2] 799
599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803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