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mber component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기 개발 문의 件
2020.12.10 23:26
안녕하세요.
반도체 장비를 생산하는 업체의 연구실 소속 최재혁이라고 합니다.
자사가 생산하는 제품중에 오존 발생기가 있으며 이 생산 제품의 주요 부품에 대해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 하고 있습니다.
언급된 주요 부품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면 Chamber로 이루어진 발생장치 안에 O2를
주입하고 촉매제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O3를 발생시키는 역할로서 발생기의 핵심이라
고 할 수 있습니다.
자사 보안 규정에 따라 자세한 내용을 설명드릴 수 없는 점 양해를 부탁 드립니다,
핵심 기술에 대한 위탁 및 공동 연구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교수님께서 시간이 되시면 저희 회사 인원과 함께 찾아 뵙고 프레젠테이션을 진행 했으
합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88] | 256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3691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4969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1641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0272 |
500 | 아래 382 번 질문에 대한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 763 |
499 | DC Magnetron Sputter 플라즈마 진단 [1] | 764 |
» |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기 개발 문의 件 [1] | 765 |
497 | Plasma Etching 교재 추천 부탁드립니다.. [3] | 767 |
496 | ICP, CCP 그리고 Ion Implantation 공정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772 |
495 | Plasma 에서 Coupled (결합) 의 의미 [1] | 793 |
494 | CVD 공정에서의 self bias [1] | 794 |
493 |
고전압 방전 전기장 내 측정
[1] ![]() | 800 |
492 | 플라즈마 기초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 803 |
491 | [RIE] reactive, non-reactive ion의 역할 [1] | 825 |
490 | Langmuir probe의 위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3] | 830 |
489 | 안녕하세요? 임피던스 매칭관련 질문드립니다. [1] | 830 |
488 | EEDF, IEDF, Cross section관련 질문 [1] | 832 |
487 | RIE에서 O2역할이 궁금합니다 [4] | 832 |
486 | Ar/O2 ICP 플라즈마 관하여 [1] | 838 |
485 | 플라즈마에서 가속 전압 또는 RF 파워 관련 질문드려요. [1] | 851 |
484 | PECVD 증착에서 etching 관계 [1] | 852 |
483 | I-V characteristic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 853 |
482 | Group Delay 문의드립니다. [1] | 857 |
481 |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 881 |
연구원님, 아쉽지만 저희가 오래 전에 이온나이저 관련 연구를 했었어서, 낡은 지식밖에 남아있지 않습니다. 저희가 별 도움이 되지 못할 것 같습니다. 오존발생기에 대해서는 KIST에 한승희박사님을 추천드립니다. 역시 오래전에 오존발생기에 대해서 깊은 연구를 수행하신 경험이 있으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