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최근에 플라즈마 코팅관련 회사에 입사하여 현재 플라즈마 공부중 입니다.

현재 VPS장비로 테스트 중인데 0~1 torr 보다 30~50 torr 일 떄 플라즈마제트의 모습이 훨씬 안정적인 이유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0~1 torr 일 때는 플라즈마의 형상이 지나치게 두껍고 불안정적인 모습입니다. 반면 챔버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켰을 때는 훨씬 안정적이고

얇은 플라즈마의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이를 residence time과 관련해서 이해를 해야할까요?

아직 많은 논문들을 찾진 못했지만 대부분의 논문에서도 30~300 torr로 실험한 조건들이 많아 보였습니다.

또 다른 한가지 질문은 VPS 공정에서 분위기가스 즉 챔버내를 아르곤같은 불활성기체로 채워주는 이유는 단순하게 산화나 질화등을 막기

위함인가요? 분위기가스의 역할을 어떻게 정의하면 될까요?

기초적인 질문 죄송합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2] 7502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8862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34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6848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8322
59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430
58 Plasma에 의한 분해 및 치환 반응(질문) [1] 427
57 핵융합 질문 [1] 420
56 코로나 방전 처리 장비 문의드립니다. [1] 419
55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3] 413
54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411
53 주파수 변화와 Plasma 온도 연관성 [1] 406
52 자외선 세기와 결합에너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403
51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402
50 진공수준에 따른 RF plasma 영향 관련 질문 [1] file 401
49 OES를 이용한 Gas Species 정량적 분석 방법 [1] 398
48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396
47 Chamber impedance 범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94
46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393
45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391
44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390
43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386
42 Polymer Temp Etch [1] 375
»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374
40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363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