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교수님. 전자과 3학년 학부생입니다.

최근 탐침에 대해 관심이 생겨 공부하던 중, EEDF(EEPF)라는 개념을 접하게 되었는데,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공정에 쓰이는 저온 플라즈마의 경우, 입자간 충돌이 상대적으로 적어 입자간 열평형을 이루지 않고, 전자의 경우 maxwellian 분포를 가정한다고 알고있었습니다.

최근 읽은 자료에 따르면,  공정 플라즈마는 non-maxwellian인 경우가 많고, 이는 logEEPF의 기울기를 통해 알 수 있다고 합니다.

 

1. LogEEPF의 기울기라 함은, 전자온도를 의미하는데, 전자 에너지의 대푯값인 전자온도가 두가지인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Non maxwellain 분포가 발생하는 원인이 궁금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하나의 원인은, 고에너지의 전자는 쉬스의 voltage barrier을 뚫고 들어가 가열되므로 고에너지 전자의 전자온도(기울기)가 증가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9] 10036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19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083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281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4426
133 핵융합 질문 [NFRI 국가핵융합 연구소] [1] 789
132 간단한 질문 몇개드립니다. [공정 drift와 database] [1] 787
131 플라즈마 기본 사양 문의 [형광등 동작 원리] [1] 784
130 self bias [쉬스와 표면 전위] [1] 783
» Non-maxwellian 전자 분포의 원인 [Druyvesteyn distribution 이해] [1] 781
128 Frequency에 따라 플라즈마 영역이 달라질까요? [전자와 이온의 열운동 특성과 반응 거리] [1] 780
127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플라즈마 생성 및 방전] [1] 773
126 활성이온 측정 방법 [한국 기계 연구소 송영훈 박사팀] [1] 772
125 전자기장 및 유체 시뮬레이션 관련 [핵융합 연구소] [1] 770
124 조선업에서 철재절단용으로 사용하는 가스 프라즈마에 대한 질문 [열플라즈마와 "플라즈마 금속학"] [1] 770
123 ICP에서의 Self bias 효과 [DC offset voltage와 floating potential] [1] 751
122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Cleaning 후 재활용] [1] 749
121 안녕하세요 자문을 구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E x B drift] [1] file 735
120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735
119 PECVD 고온 공정에서 증착 막으로의 열전달 관련 문의 드립니다. [플라즈마 분포와 확산] [1] 734
118 Bias인가 Cable 위치 관련 문의 [플라즈마 분포 관찰] [1] 727
117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VPS] [1] 726
116 Plasma에 의한 분해 및 치환 반응(질문) [Powder] [1] 721
115 Fl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Sputter setup 및 구동 원리] [1] 719
114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대면 재료의 전기적 특성와 플라즈마 쉬스의 변화] [3] 71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