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Source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2018.09.06 07:36
반도체 공정과 관련하여 DIFF 공정 진행 간, TEMP와 RF 간에 상관 관계가 궁금하여 문의 드립니다.
NH3의 분해와 관련하여 상온 기준 RF POWER를 인가한다고 했을때 분해 가능한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W 기준)
그리고 추가로 문의 드리고 싶은 사항은 TEMP와 RF 간에 상관 관계입니다. TEMP가 변화하는 정도에 따른 RF의 변화 정도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서 문의 드립니다.
정답이 힘들다면 참고 및 이해할 수 있는 답변을 좀 부탁 드립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2] | 7502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87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343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86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354 |
122 | Xe 기체를 사용한 플라즈마 응용 | 21246 |
121 |
F/S (Faraday Shield)
![]() | 21157 |
120 | ccp-icp | 20999 |
119 | Lissajous figure에 대하여.. | 20509 |
118 |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관한 문의 [1] | 20198 |
117 | DBD플라즈마와 플라즈마 impedance | 20120 |
116 | 상압플라즈마에서 온도와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 19660 |
115 | 대기압 상태의 플라즈마 측정 | 19654 |
114 | 에쳐장비HF/LF 그라운드 관련 [1] | 19636 |
113 | AC 플라즈마에서의 전압/전류 형상... | 19238 |
112 | 기중방전에서 궁금한것이 | 19099 |
111 | RF를 이용하여 Crystal 세정장치 [1] | 18821 |
110 | surface wave plasma 에 대해서 [1] | 18383 |
109 | DBD plasma | 18009 |
108 | 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 17621 |
» | RF 변화에 영향이 있는건가요? | 17467 |
106 | 유전체 플라즈마 | 17398 |
105 | Plasma Dechuck Process가 궁금합니다. | 17291 |
104 | 좁은 간격 CCP 전원의 플라즈마 분포 논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 | 16397 |
103 | CCP 의 electrode 재질 혼동 | 16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