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지금 플라즈마 진단을 위하여 QMA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RGA mode와 Ion mode가 있는데..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system은 electron beam의 에너지를 control이 가능한데..
1. RGA mode에서 electron beam의 에너지를 0eV로 한 경우와
Ion mode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2. Plasma를 여기시킨 상태에서 RGA mode를 사용하는 경우(위의
질문과 연관이 되는 것 같은데.. )
QMA의 gas input단에서 이온을 QMA내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기능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수고하싶시오.. ^^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 7303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16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16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69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027 |
14 | [질문] Plasma density 측정 방법 [1] | 22476 |
13 |
IEDF EQP에 대한 답변
![]() | 20716 |
12 | 플라즈마 진단법에 대하여 [1] | 20212 |
11 | 안녕하세요. GS플라텍 지성훈입니다. [1] | 20140 |
» | QMA에 관하여 [1] | 19209 |
9 |
AMS진단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 | 18969 |
8 | RF compensate probe | 18341 |
7 |
PSM을 이용한 Radical측정 방법
![]() | 16945 |
6 | 공정검사를 위한 CCD 카메라 사용 | 15984 |
5 | laser induced plasma의 측정에 관하여 | 14679 |
4 | 잔류가스분석기(RGA)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 1665 |
3 | [질문] Plasma 장비에 대한 Monitoring 질문 [2] | 1181 |
2 | DC Magnetron Sputter 플라즈마 진단 [1] | 857 |
1 | 활성이온 측정 방법 [1] | 4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