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ath Sheath 길이와 전자의 온도 및 MFP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2022.01.05 11:10
안녕하세요. 반도체분야 종사자 입니다.
인터넷을 뒤적거리며 정리되지 않은 지식들을 잘 정리해 주심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CCP 타입의 챔버이며 현상을 말씀 드리면
현상 )
공정 압력(2T -> 5T)이 증가하면서 Vrms, Irms가 모두 낮아지고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70에서 -60으로 변하였습니다.
위 현상을 해석하려고 아래의 가설을 세웠는데
가설1 ) Irms가 낮아진 이유 : 압력이 증가하면서 전자의 MFP가 감소 -> 전자가 충분한 에너지를 얻지 못하고 기체와 충돌 -> 전자 에너지 감소 -> 전자 온도 감소 -> 이온화율 감소 -> 플라즈마 밀도 감소 -> Irms 감소
디바이 차폐 길이의 공식은 전자 온도와 플라즈마 밀도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어서 서로 독립적인 변수인줄 알았습니다.
가설1 의 경우 전자의 온도 감소가 플라즈마 밀도의 감소로 이어지는데
질문 1> 그렇다면 전자 온도와 플라즈마 밀도는 완전히 독립적인건 아니고 어느정도는 종속되어 있다고 봐도 되는 건가요? 혹시 그게 아니라면 가설1 의 어느 부분에 오류가 있을까요?
=========================================================================================
가설2 ) 위상차가 -70에서 -60으로 변한 이유 : 압력이 증가하면서 전자의 온도 감소 -> 쉬스의 길이와 디바이 차폐 길이는 서로 비례 -> 디바이 차폐 길이는 전자 온도와 비례(?) -> Sheath 길이 감소(?) -> 챔버 내 Cap 성분 증가(?)
위상차가 + 방향으로 움직였다는건 Capacitor 성분이 감소했기 때문일텐데 위 가설에선 정 반대의 결과가 도출됩니다.
조금 더 인터넷을 찾아 보니 C-L 쉬스의 크기에 대한 공식을 찾았습니다.
sqrt(2)/3*l_ds*(2*Vb/Te)^(3/4)
(l_ds : 디바이 차폐 길이 , Vb : 바이어스 전위 , Te : 전자 온도)
해당 식을 보면 디바이 차폐 길이와 쉬스 길이는 서로 비례하지만
디바이 차폐 길이는 Te^(1/2) 에 비례하고
해당 식의 Te^(-3/4) 항에 의해서
질문2> 쉬스 길이는 Te^(1/4) 에 반비례 한다고 봐도 될까요? 위 가설에서 Sheath의 길이가 증가하여 챔버 내의 Cap 성분이 감소했다고 해석하면 될까요?
항상 많은 도움 얻어갑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5] | 7577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64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76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8054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353 |
754 | SCCM 단위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 143661 |
753 | DC 글로우 방전 원의 원리 좀 갈켜주세여.. | 134367 |
752 | RF 플라즈마와 Microwave 플라즈마의 차이 | 94848 |
751 | Plasma source type | 79116 |
750 | Silent Discharge | 64526 |
749 | VPP, VDC 어떤 FACTOR 인지 알고 싶습니다. [1] | 54301 |
748 | 안녕하세요. RF Ma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47509 |
747 | 플라즈마내에서의 아킹 | 43618 |
746 |
반도체 CVD 공정의 ACL공정에서 RF Reflect Power에 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 | 41022 |
745 | 대기압 플라즈마 | 40460 |
744 | Ground에 대하여 | 38989 |
743 | RF frequency와 RF power 구분 | 38977 |
742 | Self Bias | 36320 |
741 | Ar plasma와 O2 plasma 차이??(Matching Network) | 35546 |
740 | ECR plasma 장비관련 질문입니다. [2] | 34825 |
739 | PEALD관련 질문 [1] | 321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