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in general 간단한 질문 몇개드립니다.
2020.01.29 20:33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장비를 다루면서 당연시 생각했던건데 이유를 생각해보면
막상 안떠오를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몇가지 질문드리려고요.
1.같은 메이커 같은 모델의 장비를 쓸때에도 depo rate, etch rate가 제각기 다른데
이런이유를 어떻게 설명해야될까요..
2.하루종일 장비를 안쓰면 etch rate가 달라지는데 leak가 있어서 진공이 달라진것도
아닌데 왜 이런현상이 일어날까요? 이런 현상때문에 일부러 dummy wafer를 칠때가
있습니다.
3.chamber를 open한 직후와 많이 양산이 돌아간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rate가 달라지는데
이유가 있을까요?
4.chamber 벽 표면의 물질이 달라지면 플라즈마의 특성, 쉬스 이런것들이 달라지나요?
(Sputter 장비에서 shield의 부산물 포획특성을 위해 coating의 물질을 바꾸는 경우가 있어
문의드립니다)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 7542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63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5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68 |
42 | Co-relation between RF Forward power and Vpp [1] | 534 |
41 |
수중 속 저온 플라즈마 방전 관련 질문 드립니다
[2] ![]() | 531 |
40 | 프리쉬스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529 |
39 | Frequnecy에 따라 플라즈마 영역이 달라질까요? [1] | 515 |
38 | 전쉬스에 대한 간단한 질문 [1] | 500 |
» | 간단한 질문 몇개드립니다. [1] | 489 |
36 | Self bias 내용 질문입니다. [1] | 461 |
35 |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 449 |
34 | (PAP)plasma absorption probe관련 질문 [1] | 447 |
33 | 코로나 방전 처리 장비 문의드립니다. [1] | 430 |
32 | 자외선 세기와 결합에너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425 |
31 |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 419 |
30 |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 416 |
29 |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 410 |
28 |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 408 |
27 |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 406 |
26 |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1] | 392 |
25 |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 391 |
24 | self bias [1] | 389 |
23 |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 | 3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