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mber Impedance 플라즈마 임피던스와 Vpp가 관련이 있나요? [플라즈마 주파수와 Vpp, sheath]
2021.03.10 17:30
안녕하세요. 저는 디스플레이 건식식각 장비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IC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Source Vpp, Bias Vpp라는 parameter가 있는데 제가 알기로는 RF 파형의 전압 값으로 RF power와 비례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식각 시 Source와 Bias power는 일정하게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Vpp가 변동됩니다. Process가 진행되면서 Source Vpp는 증가하는 경향, Bias Vpp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Bias Vpp는 -Vdc(표면전위)로 점차 떨어져 안정화된다고 하셨는데, Source Vpp는 왜 증가한 후 안정화되는 건가요?
박막이 식각됨에 따라 플라즈마의 임피던스가 변해서 Vpp가 변동이 생기는 건가요? 그렇다면 왜 Source Vpp와 Bias Vpp가 상반되는 거동을 보이는 것인지요? 고민해봐도 잘 모르겠어서 부득이하게 질문 드립니다.
참고로 저희 장비의 Vdc sensor는 capacitor의 원리를 사용해 측정하기 때문에 전위변동 -> 안정화 후에는 0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4] | 8905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23008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9682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71492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9646 |
826 | SCCM 단위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Flow rate] | 147848 |
825 | DC 글로우 방전 원의 원리 좀 갈켜주세여.. | 134555 |
824 | RF 플라즈마와 Microwave 플라즈마의 차이 [해리와 세정 활성종] | 97177 |
823 | Plasma source type [CCP, ICP, TCP] | 80176 |
822 | Silent Discharge | 64614 |
821 | VPP,VDC 어떤 FACTOR인지 알고 싶습니다. [Vpp, Vdc와 플라즈마 발생 원리] [1] | 55604 |
820 | 안녕하세요. RF Ma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Matching과 L-type] [1] | 48590 |
819 | 플라즈마내에서의 아킹 [Charge와 plasma potential] | 43869 |
818 | 반도체 CVD 공정의 ACL공정에서 RF Reflect Power에 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 41540 |
817 | 대기압 플라즈마 | 40849 |
816 | Ground에 대하여 | 39941 |
815 | RF frequency와 RF power 구분 | 39326 |
814 | Self Bias [Self bias와 플라즈마 특성 인자] | 36575 |
813 | Ar plasma와 O2 plasma 차이??(Matching Network) [Matching Q factor와 negative ion] | 36276 |
812 | ECR plasma 장비관련 질문입니다. [ECR과 enhanced process] [2] | 35196 |
811 | PEALD관련 질문 [Passivation 막 증착 과정] [1] | 32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