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좋은 글과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반도체 장비 회사에 근무하는 재직자 입니다.

 

플라즈마 테스트 시 matcher에서 나오는 결과 값에 대해 의문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1. 측정 값 중 RF_V_PEAK 라는 값이 있습니다.

이게 플라즈마 생성기에 인가되는 V의 피크값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 값이 ESC 척에 걸리는 DC bias 값과 동일하다고 생각해도 되나요?

 

2. 측정 값 중 RF TUNE, RF LOAD, MFC01, MFC02 값이 있습니다.

RF TUNE 값은 제너레이터와 직렬로 연결된 cap 로, 플라즈마 리액턴스 값에 영향을 주고

RF LOAD 값은 제너레이터와 병렬로 연결되어 플라즈마의 임피던스 실수부에 영향을 주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두값은 측정된 임피던스와 대조를 통해서 확인이 끝난 상황인데요,  (Raw 데이터로 그래프 뽑아보면 그래프 형상이 거의 동일하게 나옵니다.)

문제는 MFC01, MFC02값입니다.

이게 실제로 연결된 가변 Cap 값이라고 추정중인데, 이 값들과 임피던스 값, RF load, tune 값이랑은 상관관계를 알 수가 없습니다.

이 값들이 실제로 cap 값을 의미하는건지, 그 값이 맞다면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혹은 다른 값인데 오해를 하고 있는건지..

 

3. 챔버 내에 장착된 ESC척이나 Heater의 스펙(크기나 cap 값 등)이 챔버의 impedance(RF generater 에서 플라즈마 까지의 impedance) 에 영향을 주는지 알고 싶습니다.

 

4. 식각, 증착, ESC 성능에 있어서 정전척(또는 Heater)의 cap값이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ESC나 heater에서 cap 값이 충분히 확보가 안되면 self bias 에 손실을 주게 되고 이는 식각과 증착 속도와 퀼리티에 영향을 주며

ESC에서 처킹능력은 cap 값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 chamber 에 쓰이는 ESC 와 heater의 capacitance 와 impedance 를 정확히 측정하고 싶은데 여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  ESC하나만 측정하기에는, ESC에서는 단자가 1개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실제 공정에서 상대 극판으로 이용되는 plasma가 있어야 하는데 이를 impedance analyzer 에서 측정 시 특정 짓기에 어렵습니다.

 -  플라즈마를 대체하여 ESC표면에 금속 판을 올려서 측정할 경우, ESC 내의 grond plate(금속판)에서 반대편 금속 판 까지 ESC body, 공기층(ESC표면에 단차가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웨이퍼까지 존재하는데,

이렇게 구성 될 경우 두 유전체가 일렬로 존재하여 커패시턴스가 직렬로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버려 본래 esc 척의 cap 측정이 불가능해집니다.

여기에 참고 할 수 있을만한 문헌이나 특허, 책이 있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질문을 하다 보니 정말 길어졌습니다만...

의지할 곳이 여기밖에 없어 도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16] 82494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1941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872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035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6223
464 RF Power와 균일도 연관성 질문드립니다 [고주파 플라즈마 반응 특성] [2] 3813
463 CCP 구조가 ICP 구조보다 Arcing 발생에 더 취약한가요? [Breakdown 전기장, 아크 방전] [3] 3795
462 plasma sheath 두께의 영향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Child-Langmuir sheath model] [2] 3784
461 ESC Cooling gas 관련 [ESC 온도 제어] [1] 3736
460 Bias 관련 질문 드립니다. [Ion plasma frequency] [1] 3683
459 PECVD Precursor 별 Arcing 원인 [하전에 의한 전기장 형성 및 방전 시간] [1] 3677
458 RF plasma 증착 시 arcing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Arc와 cleaning] [1] 3664
457 방전에서의 재질 질문입니다. [방전과 전압] [1] 3634
456 Matcher의 Load/Tune Position 거동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Plasma impedance와 Matcher] [2] 3571
455 코로나 방전의 속도에 관하여 [코로나 방전의 이해] [1] 3539
454 고온의 플라즈마와 저온의 플라즈마의 차이 [플라즈마 물리/화학적 특성, 중성입자 거동 및 자기장 성질] [1] 3512
453 CVD 공정에서의 self bias [이차 전자 생성, 입사 이온 에너지 분포] [1] 3491
452 electron energy distribution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Maxwallian EEDF] [2] 3453
451 Etcher Chamber Wall에 의도적으로 Polymer를 증착시키고 싶습니다. [ONO 공정 중 질화막 모니터링] [2] 3442
450 PP & PET 친수성과 접착성 유지 질문입니다. [소수/친수성 조절 연구] [1] 3419
» matcher, ESC, Heater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회로 모델 및 부품 impedance] [3] 3415
448 RF matcher와 particle 관계 [DC glow 방전, 플라즈마 임피던스] [2] 3395
447 Gas flow rate에 따른 etch rate의 변화가 궁금합니다. [Flow rate와 moral ratio, resident time] [1] 3377
446 M/W, RF의 Plasma에 의한 Ashing 관련 문의드립니다. [DC 글로우 방전 및 Breakdown] [1] 3339
445 Etching 공정 중 wafer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Ring관련 [Sheath 전위 형성] [3] 3283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