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반도체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과정에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아시는 바와 같이 J-R Type ESC는 강한 Chucking Force 대비 Process 진행 후 ESC Surface에 Residual Charge가 남아있게 되어 정전기적 힘에 의해 WF 깨짐이나 Sticking등의 문제가 발생, 추가적인 과정을 통해 잔류전하를 제거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ESC를 Ground or Reverse Voltage or Plasma Dechuck등

그중에 Plasma Dehuck를 사용한 Residual Charge 제거 원리가 궁금합니다.


1. 기본적으로 J-R Type의 ESC 에서 RF를 이용한 Etching 진행시, negative 전자로 발생한 Self DC Bias에 의해 + ion이 WF에 이온 충돌을 사용하는데

Process 과정에서 WF 표면의 Charge 관점만 생각하면 Charge가 0v가 되는게 이론상으로 맞는건가요??? (Electon Flux=Ion Flux의 개념을 기반으로)


2. 공정 Condition에 따라 WF에 잔류 전하가 + 이든 - 이든 미량으로 남아있다고 할때, Plasma Dechuck 과정으로 전하 Neutralize가 일어난다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Low Power Plasma의 전자와 이온이 WF에 입사될때 WF에 남아있는 + 와 - Charge와 Compensation 되는 과정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3. 최종적으로 Process -> Plasma Dechuck 이후에는 WF 상의 Charge가 Zero 인것이 베스트인데, 그렇지 못할경우 이론적으로 WF 상의 잔류 전하는 Positive 일지, Negative 일지 어느정도 예상할수 있을까요?


질문이 모호하긴 한데 WF 표면상의 Charge 와 Plasma Dechuck 과정의 메커니즘이 직관적으로 와닺지가 않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4] 75749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43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66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7993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0214
337 CCP plasma에서 gap과 Pressure간의 상관관계 [1] 2088
336 RF/LF에 따른 CVD 막질 UNIFORMITY [1] 2075
335 RF 주파수와 공정 Chamber 크기의 상관관계 [1] 2066
334 Dry etch 할때 센터와 사이드 etch rate [1] 2060
333 DRY Etcher Alram : He Flow 관점 문의 드립니다. [1] 2022
332 Ar과 O2 plasma source에 따른 ignition condition에 대하여 질문 있습니다. [1] 2018
331 플라즈마 self bias 값과 압력, 파워의 상관관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2007
330 플라즈마 관련 기초지식 [1] 1991
329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1] 1945
328 chamber impedance [1] 1941
327 ECR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1920
326 13.56MHz resonator 해석 관련 문의 [1] 1900
325 N2 Plasma 상태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1895
324 잔류가스분석기(RGA)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1865
323 가입인사드립니다. [1] 1864
322 3 stub 정합에 대해 궁금합니다. [1] 1835
321 플라즈마 띄울때..ㅠㅠ!!? [1] 1821
320 유도결합 플라즈마 소스 질문!!!? [2] 1816
319 플라즈마 에칭 과 표면처리 의 차이점 질문드립니다. [1] 1813
318 ICP power와 ion energy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2] 181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