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ath plasma and sheath, 플라즈마 크기
2004.07.02 00:28
질문 ::
sheath가 형성된 부분은 전위가 매우 낮다가 일정영역에서는
높은 전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그렇다면 플라즈마내에서 voltalge drop이 있다고 해야하는 건가요??
어디서 어디까지가 플라즈마 형성 영역으로 봐야하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님 그냥 밀도 차이로 보면 되는건가요??
애매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
플라즈마는 준중성상태를 유지하고 집단행동을 할 정도의 많은 하전입자의 모임입니다. 플라즈마 쉬스는 플라즈마의 경계에서 생기는
플라즈마의 일부분으로 쉬스에서는 플라즈마의 본래
특성인 준 중성상태의 조건을 위배하며 이온이 많고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는 영역입니다. 쉬스와 플라즈마 본체 사이에는 플라즈마 온도의 절반에 해당하는 전위차를 갖으며 이 전위차로 부터 이온이 에너지를 받아 쉬스로 입사되게 되는, 즉 이온이 가속되는 영역인 프리 쉬스 (전외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프리쉬스 내에서는 플라즈마의 준 중성 상태는 유지됩니다.
따라서 플라즈마 특성이 유지되는 곳으로 플라즈마
크기를 정의한다면 쉬스 영역을 제외하고 생각하는
편이 옳을 수 있습니다. 정확히 이야기 하면 프리 쉬스 (전외장)까지
이겠지요. 하지만, 플라즈마 상태가
유지되는 곳의 그 가장자리에는 늘 쉬스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플라즈마와 쉬스를 분리해서 플라즈마 용적을 생각하기는 어렵습니다.
쉬스에 대해서는 여러차례 설명을 했으니 이전 설명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59] | 73003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11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13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693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022 |
665 | 플라즈마 온도 | 26861 |
664 |
이온과 라디칼의 농도
![]() | 26485 |
663 | self bias (rf 전압 강하) | 26247 |
662 |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2] | 26095 |
661 | 충돌단면적에 관하여 [2] | 25627 |
660 | 스퍼터 DC 파워의 High 임피던스가 무슨 의미인가요? | 25450 |
659 | dechucking시 Discharge 불량으로 Glass 깨짐 [3] | 25445 |
658 | PECVD 매칭시 Reflect Power 증가 [2] | 24732 |
657 | RF 플라즈마 챔버 내부에서 모션 구동 [1] | 24596 |
656 | 스퍼터링에서 DC bias의 감소 원인이 궁금합니다.. | 24533 |
655 | ICP Source에서 RF Source Power에 따른 위상차와 임피던스 변화 문의 [1] | 24525 |
654 | Reflrectance power가 너무 큽니다. [1] | 24509 |
653 | 플라즈마가 불안정한대요.. | 24365 |
652 | H2/O2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꼭 답변점... [1] | 24323 |
651 |
반도체 CVD 공정의 ACL공정에서 RF Reflect Power에 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 | 24132 |
650 | 플라즈마에 관해 질문 있습니다!! | 24054 |
649 | OES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1] | 24027 |
648 | Dechucking 시 wafer 상의 전하 문제 | 23835 |
» | plasma and sheath, 플라즈마 크기 | 23686 |
646 | 플라즈마 쉬스 | 23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