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 플라즈마 이용 metal residue 제거방법 문의드립니다.
2021.02.26 13:20
안녕하세요 교수님
반도체 후공정 회사를 다니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공정 진행 후 leakage test 결과 leakage current가 높게 나온 문제점이 발생하였습니다.
내부 엔지니어 문의 결과 O2 descum공정이 metal residue를 없애는데 도움을 준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O2 descum을 진행했지만, leakage 문제는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metal residue를 없애기 위해 다른 가스(Ar, H2N2, CF4 등)를 이용한 플라즈마가 더 효과적인지 알고싶어 질문드립니다.
혹은, leakage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조언해주시면 감사드립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02] | 3674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5361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058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3010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2190 |
49 | 라디컬의 재결합 방지 [1] | 369 |
48 |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1] | 367 |
47 | Shield 및 housing은 ground 와 floating 중 어떤게 더 좋은지요 [2] | 367 |
46 | 핵융합 질문 [1] | 365 |
45 | 간단한 질문 몇개드립니다. [1] | 362 |
44 |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 354 |
43 | (PAP)plasma absorption probe관련 질문 [1] | 353 |
42 |
플라즈마 세정 장비 (CCP구조)에서 자재 로딩 수에 따른 플라즈마 효과 및 Discolor
[1] ![]() | 352 |
41 | ICP Dry Etch 진행시 정전기 발생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352 |
40 |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 350 |
39 |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 348 |
38 |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 346 |
37 | ICP 대기압 플라즈마 분석 [1] | 343 |
36 | Plasma에 의한 분해 및 치환 반응(질문) [1] | 343 |
35 | CF3의 wavelength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1] | 340 |
34 | 잔류시간 Residence Time에 대해 [1] | 338 |
33 |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 338 |
32 |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 337 |
31 | etch defect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336 |
30 |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1] | 330 |
세정 공정 개발로 보입니다. 사내의 세정 전문가와 논의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장비 및 공정의 특성을 가장 잘 아시는 분과 논의가 필수적입니다. 아래 580번 설명도 참고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너무 걱정하시지 마시고 하나씩 찾아 가시면 담당하신 챔버의 특성을 곧 이해하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