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2021.07.09 14:56
안녕하세요. 반도체 관련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현재 공정이 완료된 텅스텐 재료에 대기압 플라즈마를 가하여 정전기 제거를 하고있습니다.
Ar gas를 이용하였으며 정전기 측정장비로 제거 되는 것 까지는 확인 되었습니다.
추가로 여쭤보고 싶은 부분이 정전기 제거 후에도 반영구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것도 확인이 되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관련 자료를 찾아보아도 나오는 부분이 거의 없어서요.
O, N 라디칼들이 계면에서 어떠한 에너지 반응을 일으키는 건지. 텅스텐 표면에 어떤 결합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플라즈마를 통하여 정전기 방지가 유지되는 것이 어떠한 Process로 진행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고견 여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01] | 364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533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0578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2994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2123 |
49 | 라디컬의 재결합 방지 [1] | 367 |
48 | Shield 및 housing은 ground 와 floating 중 어떤게 더 좋은지요 [2] | 366 |
47 | 핵융합 질문 [1] | 365 |
46 | 간단한 질문 몇개드립니다. [1] | 360 |
45 |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1] | 358 |
44 | (PAP)plasma absorption probe관련 질문 [1] | 353 |
43 |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 349 |
42 | ICP Dry Etch 진행시 정전기 발생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348 |
41 |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 348 |
40 |
플라즈마 세정 장비 (CCP구조)에서 자재 로딩 수에 따른 플라즈마 효과 및 Discolor
[1] ![]() | 346 |
39 |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 346 |
38 |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 344 |
37 | ICP 대기압 플라즈마 분석 [1] | 341 |
36 | Plasma에 의한 분해 및 치환 반응(질문) [1] | 340 |
35 |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 338 |
34 | CF3의 wavelength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1] | 337 |
33 |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 337 |
32 | 잔류시간 Residence Time에 대해 [1] | 334 |
31 | etch defect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329 |
» |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1] | 329 |
플라즈마에서 가속 이온이 제공되고, 이로 인해 dangling bond 들이 많아지는 것을 가정해 볼 수 있겠습니다. 동시에 전자들도 입사되므로, 각 bond에 전하가 붙게 되고, 또한 radical 들도 결합이 되게 될 것입니다. 주로 산소와 질소 라디컬들이 잘 결합하겠습니다. 하지만
각 반응의 상수와 결합 과정 및 그 결합이 얼마나 강력한가, 즉 후속 반응이 존재하는 경우 잘 견딜 것인가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표면 과학을 전공하시는 분이 답을 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표면으로 전달되는 항목으로는
전자, 이온 (질량과 에너지), 화학 반응(라디컬) 과 UV가 동시에 제공됨을 참고하시고, 표면 반응 자료를 찾아 보시기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