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in general 구 대칭으로 편광된 전자기파를 조사할 때에 대한 질문입니다.
2021.05.07 19:52
안녕하세요. 저는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박재우입니다. 천체물리학에 관심이 있어
자연스럽게 플라스마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태양을 비롯한 천체와 은하의 격렬한 활동에
의해 우주에는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X선과 감마선이 흔하게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다 구 대칭으로 편광 된 빔들이 더해져 중심부에 큰 세기가 되는 것을 알고
핵융합뿐만 아니라 전자기파도 플라스마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가스의 절연내력만 넘겨도 절연파괴가 일어나 아크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플라스마의 물성이 난해하고 분포가 균일하지 않으면 더 어려워서 '금속 전도성이
한계일 것이다.'라는 전제를 가졌습니다. 감쇠상수가 0이 될 수 있는 파장대를 찾아
보니 감마선이었습니다.
하지만 빛은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고, 산란 혹은 흡수 등이 일어날 수도 있고 ...
물어볼 사람도 없고 실제로 플라스마에 X-ray이나 감마선을 조사할 수도 없어 답답했습니다.
그러다 서울대 플라스마 연구소를 알게 되었고, 이렇게 질문을 하게 됐습니다.
첨부파일은 제가 어설프게나마 생각한 것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1. 구 대칭으로 편광 된 X-ray을 조사하였을 때 플라스마는 어떻게 될까요?
2. 자연계에서 플라스마의 도전율의 한계가 어디로 생각하는게 좋을까요?
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그럼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5] | 75773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58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74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803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333 |
58 |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 404 |
57 | center to edge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1] | 401 |
56 |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 395 |
55 | 스퍼터링 Dep. 두께 감소 관련 문의사항 [1] | 392 |
54 |
plasma striation 관련 문의
[1] ![]() | 389 |
53 |
안녕하세요. 자문을 구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1] ![]() | 381 |
52 |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 375 |
51 |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 | 374 |
50 | RF Frequency 가변과 FORWARD POWER의 상관관계 [2] | 365 |
49 |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 | 363 |
48 |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 357 |
47 | plasma modeling 관련 질문 [1] | 355 |
46 | Arcing 과 Self-DC Bias Voltage 상관 관계 [1] | 349 |
45 | RF 주파수에 따른 차이점 [1] | 336 |
44 |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 329 |
43 | ISD OES파형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315 |
42 | PEALD 장비에 관해서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1] | 310 |
41 | 공정 진행 중 의도적인 섭동 효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 296 |
40 | 안녕하세요 CLEAN GAS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 291 |
39 | RIE 식각공정중 발생하는 가스를 예측할 수 있는 메카니즘에 대해 질문하고싶습니다. [1] | 285 |
좋은 질문으로 읽힙니다. 하지만 내 능력 밖의 문제로 이해됩니다. 해당 분야는 주로 초고밀도 플라즈마에서 발생하는 빛을 연구하는 그룹에서 좋은 답을 주실 것으로 기대합니다. 추천하건대,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EF)에 계시는 정현경박사님 혹은 중앙대학교 한상준교수님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