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P 플라즈마의 발생과 ICP

2004.06.19 16:05

관리자 조회 수:22297 추천:236

일단 플라즈마의 발생 mechanism에 대해서는 잘 알고 계시리라 가정하고 이야기를 시작합시다. 문제를 간단하게 정리해 봅시다. 일단 플라즈마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충돌에 의한 에너지전달이 있어야 합니다. 전자는 가벼워 쉽게 가속되는 이유로 전자가 에너지 전달자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들 전자에 에너지를 주기 위해서는 전기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들 전자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받고 충돌에 의해 에너지를 중성입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한다면 그 plasma generation mechanism은 효율적일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들 전자에게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전자에 인가되는 전기장이 효율적으로 형성되면 좋을 것입니다. 또한 전자는 전기장을 따라서 움직임으로 전기장의 경로는 플라즈마 발생에서 전자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중요한 인자입니다. 일단 diode type의 반응기에서 DC 방전의 경우 전기장의 경로는 전극간에 형성됩니다. 따라서 전자는 전극을 향해 움직이게 되고 전극으로 손실됨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만일 전자가 전극에 충돌하기 전에 전극의 극성을 바꾸게 되면 전자가 두 개의 전극사이에서 오랬동안 가속, 충돌의 반응을 격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전자의 가속은 역시 경로가 길어 보다 효율적으로 전자를 가속시키고 충돌시키기 위한 여지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 만일 전자가 전극과 무관한 경로를 움직이고 이들 경로가 반응기의 벽과 떨어진 공간 내에 형성되어 있다면 더욱 효율적일 수 있음을 쉽게 예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전기장이 전자의 가속에 필요하다고 알고 있고 전위차를 이용하여 전기장을 형성하는 것 외에도 공간내의 자속이 시간적 변화를 만들면 그 공간 주변으로 전기장이 형성됨을 알고 있습니다. 이는 Ampere's law와 물려서 도선에(antenna) 전기를 흘리면 도선 주변으로 자기장이 형성되고 도선의 전류를 시간에 따라 변화하면 이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도 변하고 이에 의해 유도 전기장이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기장은 공간 내에 분포하게 되며 이는 반응기의 형태나 전극의 크기와 무관하게 공간내에 형성되게 됩니다. 따라서 이들 전기장의 경로는 보다 효율적으로 전자가 움직이고 또한 시간에 따라 방향을 바꾸어 공간 내에서 오랬 동안 가속, 충돌에 반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한 plasma 발생 방법을 ICP 라고 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4] 8900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299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967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148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9624
748 안녕하세요. O2 Plasma 관련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23051
747 floating substrate 에서 sheath 형성 과정 의문점 [Ambipolar diffusion, Floating potential] [2] 23000
746 [질문] Plasma density 측정 방법 [Plasma property와 sputtering] [1] 22888
745 pulse plasma 측정을 위한 Langmuir probe 사용 방법 관련 [Pulse plasma와 trigger-in] [1] 22822
744 Peak RF Voltage의 의미 22771
743 MATCHING NETWORK 에서 BACKWARD BIAS 가 생성되는 이유가 무엇 입니까? [Impedance matching과 반사파 형성] [3] 22724
742 Dry Etcher 에 대한 교재 [플라즈마 식각 기술] [1] 22705
741 질문있습니다 교수님 [Deposition] [1] 22612
740 Dry Etcher 내 reflect 현상 [Chuck 전압/전류 및 field breakdown] [2] 22456
» 플라즈마의 발생과 ICP 22297
738 플라즈마 코팅 관하여 [PECVD와 화학물 코팅] 22186
737 플라즈마내의 전자 속도 [Self bias] [1] 22146
736 플라즈마 온도 질문+충돌 단면적 [전자의 에너지에 따른 충돌반응] 22097
735 펄스바이어스 스퍼터링 답변 22048
734 스퍼터링시 시편 두께와 박막두께 [박막의 하전량 변화] [1] 21918
733 glass 기판 ICP 에서 Vdc 전압 21875
732 ccp-icp 21835
731 F/S (Faraday Shield) file 21764
730 manetically enhanced plasmas 21736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