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교수님, 현재 반도체 공정 분야를 전공하고 플라즈마 전공에 대해 관심이 생겨 공부를 하고있는 전자공학과 학부생 4학년 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LXcat에서 Biagi, Bsr, Lisbon, Hayashi, Triniti 총 5가지의 Cross section을 가지고 Comsol Simulation Tool을 통해 플라즈마 방전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각 Dataset 마다 Electron density, Electron Temperature, Volatge 등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각 Dataset에 대한 Simulation을 진행하였을 때 LXcat에 존재하는 TRINITI Metastable Excitation Cross section을 각 DataSet에 추가하였고 그 결과 Metastable excitation cross section을 추가하지 않았을 때 보다 Electron density는 증가하고 전자온도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게된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다르게 나타난 원인에 대해 고민해본 결과 우선적으로 Set 별로 가지고 있는 Excited State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려보았지만 세부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해결을 하지 못하여 이렇게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또한 각각의 Dataset 별로 Electron density, Electron Temperature, Voltage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여쭤봐도 되겠습니까?

 

바쁘신 와중에도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조형준 올림.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089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39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0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49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59
741 Edge ring의 역할 및 원리 질문 [1] 344
740 PECVD 고온 공정에서 증착 막으로의 열전달 관련 문의드립니다. [1] 354
739 plasma off시 일어나는 현상 문의드립니다 [1] 367
738 반사파와 유,무효전력 관련 질문 [2] 368
737 RIE 식각공정중 발생하는 가스를 예측할 수 있는 메카니즘에 대해 질문하고싶습니다. [1] 373
736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1] 376
735 chamber에 인가 되는 forward power 관련 문의 [1] 376
734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file 377
733 ICP 방식에서 RF Foward Power를 상향하면 ER이 빨라지는 이유 [1] 379
732 plasma modeling 관련 질문 [1] 390
731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file 394
730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405
729 애칭 후 부산물의 양을 알고 싶습니다. [1] 410
728 PEALD 장비에 관해서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1] 414
727 CURRENT PATH로 인한 아킹 [1] file 414
726 standing wave effect, skin effect 원리 [1] 415
725 center to edge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2 421
724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427
723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429
722 플라즈마 공정 후, 친수성으로 변한 표면의 친수성 제거 [1] 42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