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P skin depth에 대한 이해

2024.04.02 16:59

김준서 조회 수:236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플라즈마에 관심이 많은 전자과 학부생입니다.

ICP에서의 skin depth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skin depth는 전자기파가 챔버 내로 침투할 수 있는 길이로, 플라즈마 밀도가 높아질수록 해당 길이는 짧아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고밀도 플라즈마에서는 quartz window 근방에 형성된다고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icp는 주로 해당 부근에서 전자가 가속된다고 생각해도 될까요?(CCP가 Cathode fall 부근에서 주로 가속되는 것과 비슷하게).

 

비슷한 방면으로, icp에서 E-mode->H mode로 전환되며 플라즈마 밀도가 커지면서 skin depth 또한 줄어들 것이니, 플라즈마 형성 초기에는 전자가 흡수하는 에너지가 커지다가, 이후 점차 작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러한 태생적인 특징이 icp 플라즈마 밀도 증가의 한계에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30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501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5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88
770 플라즈마 온도 27863
769 DBD란 27787
768 플라즈마 상태와 RF MATCHING관계 문의 사항 27682
767 플라즈마 챔버 의 임피던스 관련 [2] 27250
766 이온과 라디칼의 농도 file 27076
765 self bias (rf 전압 강하) 26800
764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2] 26516
763 OES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1] 26341
762 dechucking시 Discharge 불량으로 Glass 깨짐 [3] 26282
761 충돌단면적에 관하여 [2] 26231
760 스퍼터 DC 파워의 High 임피던스가 무슨 의미인가요? 25600
759 PECVD 매칭시 Reflect Power 증가 [2] 25001
758 Reflrectance power가 너무 큽니다. [1] 24927
757 스퍼터링에서 DC bias의 감소 원인이 궁금합니다.. 24911
756 plasma와 arc의 차이는? 24887
755 ICP Source에서 RF Source Power에 따른 위상차와 임피던스 변화 문의 [1] 24796
754 RF 플라즈마 챔버 내부에서 모션 구동 [1] 24790
753 H2/O2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꼭 답변점... [1] 24719
752 반도체 CVD 공정의 ACL공정에서 RF Reflect Power에 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file 24665
751 플라즈마가 불안정한대요.. 2453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