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 기본 사양 문의

2018.02.27 10:50

포포쿱 조회 수:619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기기에 급 관심을 갖게된 대학생입니다.


기본적으로 몇가지 문의 드리고 싶은데 아시는 분들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1. 저온 플라즈마의 측정 단위?

빛은 에너지밀도, 파장대로 어떤 기기의 출력 스펙을 한정하듯 저온 플라즈마 스펙도 전압, 주파수, 파장, 에너지밀도 등으로

쓸 수 있는건가요?

그렇다면 어떤 측정 단위를 쓰나요? V ? W ? W/m2 ? nm ?


2. 고전압

3KV 이상의 고전압을 걸어야 플라즈마 형태로 기체를 이온화? 시킬 수 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혹시 이 고전압이 불량이 나거나 이상이 생겼을때 위험하진 않나요



3. 인체 안전성?

플라즈마를 인체에 쐬어 주었을때 나타나는 부작용? 등이 있을까요?

반응성이 크고 에너지가 큰 상태인 플라즈마가 어떤 작용을 할거같은데..



4. 플라즈마 측정 방법


플라즈마가 나오는지 측정하려면 분광기?등 어떤 장비를 사용해야 하나요?

측정해주는 기관이나 (공공기관) 실험실이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1번과 같은 질문인데  측정하면 뭘 어떻게 어떤 스펙을 측정하는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2] 7721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6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6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0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46
406 RF/LF에 따른 CVD 막질 UNIFORMITY [1] 2499
405 Load position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2478
404 plasma etching을 관련 문의드립니다. [1] 2442
403 안녕하세요? 임피던스 매칭관련 질문드립니다. [1] 2432
402 RPS를 이용한 SIO2 에칭 [1] 2426
401 RF 주파수와 공정 Chamber 크기의 상관관계 [1] 2403
400 Ar과 O2 plasma source에 따른 ignition condition에 대하여 질문 있습니다. [1] 2403
399 임피던스 실수부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4] 2392
398 DRY Etcher Alram : He Flow 관점 문의 드립니다. [1] 2389
397 CCP에서 전극에 쌓이는 막질에 의한 Capacitance 변화가 궁금합니다 [1] 2387
396 플라즈마 깜빡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2376
395 PRECOATING 공정에서 SHOWERHEAD <-> STAGE HEATER 간 GAP 과 DEPO 막질의 THK 와의 연관성.... [1] 2370
394 교수님 안녕하세요, icp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2] 2367
393 Ta deposition시 DC Source Sputtreing 2365
392 Etch공정(PE mode) Vpp 변동관련. [1] 2360
391 sputtering gas에 따른 플라즈마 데미지 [1] 2349
390 Wafer particle 성분 분석 [1] 2348
389 플라즈마 세라믹코팅후 붉은 이유는? 2348
388 Dry etch 할때 센터와 사이드 etch rate [1] 2333
387 CCP plasma에서 gap과 Pressure간의 상관관계 [1] 233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