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항상 검색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감사히 생각하고 있습니다.

 

ICP Etcher에서 Al (상하부 Ti) 식각할 때 Cl2+BCl3 베이스로 식각한 뒤

 

부산물인 AlCl3 또는 Cl 이온이 잔류한 상태로 대기에 노출되면 부식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당장 부식이 생기지 않더라도 전기적 구동 평가시에 부식 또는 신뢰성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CF4, O2 플라즈마로 약 30~60초간 후처리하여 AlCl3를 AlF3로 치환하는 방식으로 이를 제어하고 있습니다.

 

1. 이처럼 잔류 이온을 컨트롤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찾아보니 N2, H2O 플라즈마도 효과가 있다는데 N2는 어떤 원리인지 잘 모르겠네요.)

각종 연구실이나 기업 등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잔류 이온 제어(부식 방지)를 하고 있는지? 과거/최근 적용 사례나 연구 동향 등이 궁금합니다.

또는 새롭게 평가해볼만한 아이디어도 고민 중에 있습니다.

 

2. 단순히 최상부막 Metal에 남는 AlCl3 뿐만 아니라 하부막에 박히는 Cl 이온도 악영향이 있겠죠?

 

3. CF4 처리를 하더라도 AlF3나 하부막 F이온도 정도가 덜할 뿐 비슷한 side effect이 생길 것 같습니다. 애초에 잔류 Cl 이온을 줄이거나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30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50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54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89
»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2185
429 ESC 표면 온도랑 식각률의 차이가 어떤 관계로 있는걸까요?? [1] 2186
428 양극 코로나 방전에 대한 질문입니다. [1] 2190
427 부도체를 타겟으로 한 플라즈마 형성 원리 [1] 2266
426 플라즈마볼 제작시 [1] file 2275
425 Etch 공정 Dummy 사용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1] 2281
424 RF frequency와 다른 변수 상관관계 질문 2299
423 ECR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2309
422 e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1] 2313
421 Dry etch 할때 센터와 사이드 etch rate [1] 2348
420 CCP plasma에서 gap과 Pressure간의 상관관계 [1] 2349
419 N2 Plasma 상태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2352
418 Wafer particle 성분 분석 [1] 2356
417 플라즈마 세라믹코팅후 붉은 이유는? 2362
416 sputtering gas에 따른 플라즈마 데미지 [1] 2364
415 Ta deposition시 DC Source Sputtreing 2366
414 Etch공정(PE mode) Vpp 변동관련. [1] 2369
413 교수님 안녕하세요, icp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2] 2380
412 PRECOATING 공정에서 SHOWERHEAD <-> STAGE HEATER 간 GAP 과 DEPO 막질의 THK 와의 연관성.... [1] 2389
411 플라즈마 깜빡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239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