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플라즈마 응용분야

2004.06.19 16:09

관리자 조회 수:17870 추천:201

플라즈마 물리와 관련된 분야는실로 다양합니다.

플라즈마 물리의 연구 분야는 크게 핵융합 연구에 관련된 분야와 산업용 플라즈마 응용 분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물론 천체 플라즈마 연구도 있으나 현실 속으로 아직깊이 들어와 있지는 못합니다. 핵 융합은  대전의 기초과학지원 연구원(KBSI) 혹은 원자력연구원등에서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순수한 플라즈마 물리의 지식이 요구됩니다. 안정된 분위기에서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훌륭한 연구소들이어서 이 분야를 전공한 후에 자신의 직장으로 삼을 만한 좋은 곳이라 생각됩니다.

다른 한 분야는 플라즈마를 산업에 이용하는 부분입니다. 플라즈마 상태를 요구하고 도구로 쓰는 많은 분야가 있습니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토치, 박막, 식각등의 반도체 소자 제조 회사, 액정 모니터를 만드는 회사등의 개발, 물질 표면 처리를 위한 연구등의 분야에서는 플라즈마를 전공한 연구원을 요구합니다. 또한 이런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회사에서도 플라즈마 전공자가 필요합니다. 위의 예로는 삼성전자/삼성SDI/현대반도체/LG-Phillips 및 PDP/LCD 사업부등이 이런 범주에 속하게 됩니다. 아울러 반도체 제조를 위한 국산 장비의 개발분야는 최근 급속히 발전되고 있어 이들 분야에서도 전공자들을 계속 요구하고 있습니다. 최근까지 반도체 제조 장비는 대부분 일본/미국에서 수입되었으나 일부 장비에 대한 국산화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있어 밝은 미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참고로 플라즈마 응용분야는 많은 부분이 재료공학등의 분야와 협력하여 연구를 수행하기 때문에 물질 특성/재료에 관한 지식을 같이 쌓으면 향후 진로 선택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입니다.

마지막으로 최근 들어 플라즈마를 이용한 환경 처리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2] 77206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6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6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0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45
326 plasma 형성 관계 [1] 1581
325 IMPEDANCE MATCHING PATH에서 S/H ~ MATCHER 간 전력전송 방법들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1573
324 O2 플라즈마 클리닝 관련 질문 [1] 1572
323 glow 방전 현상과 플라즈마 현상에 궁금하여 글 남깁니다. [2] 1552
322 PECVD 증착에서 etching 관계 [1] 1549
321 데포 중 RF VDC DROP 현상 [1] 1545
320 연속 plasma 방전시 RF power drop 및 Reflect 발생 [1] 1537
319 Ashing 공정에 필요한 O2 plasma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1525
318 N2 / N2O Gas 사용시 Plamsa 차이점 [1] 1513
317 ICP lower power 와 RF bias [1] 1505
316 PECVD와 RIE의 경계에 대해 [1] 1504
315 charge effect에 대해 [2] 1501
314 알고싶습니다 [1] 1487
313 Impedence 위상관련 문의.. [1] 1485
312 RF 케이블 발열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1481
311 rf chamber 내에 생기는 byproduct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1] 1473
310 플라즈마 rotational temperature에 관해서 질문드릴게 있습니다. [1] 1473
309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1464
308 Plasma 발생영역에 관한 질문 [2] 1463
307 강의를 들을 수 없는건가요? [2] 1460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