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sition 증착에 대하여...

2004.06.19 16:52

관리자 조회 수:18111 추천:239

저희도 증착 실험을 시도하고 있기도 합니다만 증착에 관한 경험은 많지 않습니다. 단지 도구로 사용하는 플라즈마의 특성에 관해서 공부를 조금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예전 저희 경험으로는 Cu의 경우 sputtering에 의해서는 매우 증착이 잘 되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같은 MO에서도 잘 될 것 같은데, 산소가 너무 많지 않은가 하는 생각되 있긴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현재 장치에서는 처부해야할 부분이 있다면, 박막의 성장 조건을 마련하기 위해서 (일단 시편이 얇은 경우면 DC도 가능하겠지만) self-bias를 인가할 수 있는 substrate를 제작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아울러 온도 조절도 가능하면 좋을 것입니다. 박막 제조를 n이해서는 시편의 온도, 시편 위에서의 전위 (이 경우 self bias)등의 조건을 매우 중요합니다. 일단 위의 두가지 조건을 변화할 수 있으면 변화해 보기 바랍니다. 이 점은 다른 박막 실험을 위해서도 필요하니 신경쓰시기 바랍니다. 또한 박막의 제만 의문점에 대해서는 저희 학과의 안 일신 교수님 (전화 031-400-5478/ 혹은 ilsin@hepth.hanyang.ac.kr)로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박막에 대한 많은 경험을 갖고 계신 분입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3] 7722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6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6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0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50
326 plasma 형성 관계 [1] 1583
325 IMPEDANCE MATCHING PATH에서 S/H ~ MATCHER 간 전력전송 방법들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1573
324 O2 플라즈마 클리닝 관련 질문 [1] 1573
323 glow 방전 현상과 플라즈마 현상에 궁금하여 글 남깁니다. [2] 1556
322 PECVD 증착에서 etching 관계 [1] 1552
321 데포 중 RF VDC DROP 현상 [1] 1545
320 연속 plasma 방전시 RF power drop 및 Reflect 발생 [1] 1538
319 Ashing 공정에 필요한 O2 plasma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1526
318 N2 / N2O Gas 사용시 Plamsa 차이점 [1] 1515
317 ICP lower power 와 RF bias [1] 1507
316 PECVD와 RIE의 경계에 대해 [1] 1506
315 charge effect에 대해 [2] 1503
314 알고싶습니다 [1] 1488
313 Impedence 위상관련 문의.. [1] 1486
312 RF 케이블 발열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1481
311 플라즈마 rotational temperature에 관해서 질문드릴게 있습니다. [1] 1475
310 rf chamber 내에 생기는 byproduct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1] 1473
309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1465
308 Plasma 발생영역에 관한 질문 [2] 1464
307 강의를 들을 수 없는건가요? [2] 1460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