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냉각수에 의한 Power Leak

2004.06.21 15:25

관리자 조회 수:14450 추천:284

질문 ::

안녕하십니까?
반도체 에칭용 ICP 소스에서
소스파워를 최대 4000 와트 바이어스를 2500와트 정도 걸면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진행하던중
ICP Type의 플라즈마 소스에서 전력손실에 대해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간접적 증거로 소스파워를 아무리 올려도 (to 4kWatts) 에칭특성에
별영향을 주지 않는 것같습니다.
그래서 생각해본것이 어느 시점을 지나면 전력이 외부로 새어나가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데 그리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생각해본 leak소스로는
1) 냉각수
2) 체임버 월(대부분 아노다이징)
3) ESC 아래의 공정이 진행되지 않는 공간
그러나 무엇하나 명쾌한 결론은 아직 없습니다.


답변 ::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단 플라즈마 밀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 좋을 것입니다.
즉 입력 전력 대비 플라즈마 밀도와 플라즈마 온도에 대한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면 문제를 좀더 이해하면서
풀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상하건대, 어느 정도의 입력 전력의 조건에서는 플라즈마 밀도가 상승하게 될 것 입니다.
하지만 일정 값 이상으로 무한히 밀도가 상승할 수는 없으며 그 이후에는 오히려 플라즈마의 온도 상승에 입력
에너지가 사용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물론 냉각수로는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고
예상하신 2-3번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저희도 경험이 없습니다.

좀더 자료를 얻게 되시면 다시 의견을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10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0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1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54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69
561 전자밀도 크기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Ar, O2, N2 가스) [1] 1128
560 RF 반사파와 이물과의 관계 [1] 1137
559 Vacuum Chamber(Etching) 내에서 열의 이동과 Byproduct 이동과의 관계. [2] 1142
558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1146
557 자기 거울에 관하여 1146
556 플라즈마 주파수 예측관련 질문드립니다 [1] 1146
555 wafer bias [1] 1150
554 잔류시간 Residence Time에 대해 [1] 1151
553 식각 가스 사용 챔버의 잔류 flourine cleaning 혹은 conditioning 방법 질문 [1] 1153
552 Group Delay 문의드립니다. [1] 1155
551 MFP와 Sheath 관련하여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1157
550 전자 온도 구하기 [1] file 1163
549 공정플라즈마 [1] 1166
548 쉬쓰 천이지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1168
547 대학원 진학 질문 있습니다. [2] 1175
546 산소 플라즈마 처리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1180
545 O2 etch 후 polymer 변성에 관한 문의 file 1180
544 Uniformity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1190
543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1198
542 ICP, CCP 그리고 Ion Implantation 공정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120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