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

플라즈마를 만질때 촉감을 알아보고 싶습니다.
만질수 있나요?/

답변 ::

플라즈마를 만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군요.
좋은 생각입니다만 만지기 전에 생각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일단 아주 낮은 밀도의 플라즈마를 만진다면 그저 공기를
손으로 만지는 느낌과 별 차이는 없을 것 입니다.

플라즈마는 기체가 이온화된 상태를 의미하는데 만질때의 느낌에 관하여 두가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하나는 밀도라는 개념이고 다른 하나는
온도의 개념입니다.

밀도란 단위 부피에 몇개의 입자가 들어 있는정도를 의미합니다.
밀도가 높다는 말은 단위 부피에 많은 갯수의 입자가 있다는 말입니다. 또한 서울의 인구 밀도가 높다는 말은 단위 면적에 사는 사람의 수가
많다는 말과 비교해 보면 앞의 것은 공간내의 개념이고 뒤의 것은
이차원 평면상의 개념입니다.

그러면 일단 대기압에서 공기의 밀도는 얼마일까?  약 3.5 x 10^16 개/cm^3 즉 단위 cm3에 3.5 x 10^16개의 공기입자가 있습니다.
따라서 플라즈마 밀도가 10^16/cm3이라면 그 상태는 밀도 관점에서
우리가 지금 느끼고 있는 공기 밀도와 비슷한 느낌이 일 것 입니다.

온도의 개념을 봅시다. 공기의 경우는 상온이 약 25도 정도입니다.
낮은 온도의 플라즈마의 온도는 약 10,000도 (1eV) 이상이 됩니다.
따라서 플라즈마의 온도는 높기 때문에 플라즈마 토치, 아크
플라즈마(약 5000도)를 이용해서 쇠강판등을 절단할 때 사용합니다.
이때 플라즈마는 대기압에서 만들어지고 플라즈마 밀도가 약 10^13-14정도 됩니다.  그러면 형광등 속의 플라즈마의 온도도 1eV정도 되는데 형광등 자체도 녹지 않고 만일 형광등에 손을 갖다 댄다해도 괜찮습니다. 그 이유는 무었일까요? 아까 이야기 했던 밀도 때문입니다. 플라즈마 토치의 밀도는 높고 형광등 속의 플라즈마 밀도(약 10^8-9정도)는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플라즈마 입자들이 전달하는 총 에너지가 작아 형광등은 무사합니다. 따라서 만일 형광등 속에
손을 넣을 수 있다면 손은 조금 따스한 정도를 느낄 것 입니다. 하지만
플라즈마 토치 속에 손을 넣는다면 그 후 어떤 일이 일어날 지 ?
상상하기조차 싫은 일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경우의 플라즈마를
손으로 만지고 싶은지요?

아울러 좀더 자세한 플라즈마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싶으면 본란에
기술되어 있는 플라즈마 입문, 소개등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온도/밀도의 개념에 대해서도 이미 설명을 자세히 드렸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2] 7720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65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6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0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46
646 ICP 대기압 플라즈마 분석 [1] 726
645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1] 735
644 Remote plasma source의 주파수 400kHz 이유 [1] 736
643 안녕하세요. Plasma etch rate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741
642 ICP 후 변색 질문 743
641 기판 위에서 Radical의 운동역학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2] 745
640 O2 플라즈마 사용에 대한 질문을 드립니다. 750
639 플라즈마 진단 OES 관련 질문 [1] 753
638 Ion과 Radical의 이동 거리 및 거리에 따른 농도와 증착 품질 관련 [1] 755
637 정전척의 chucking voltage 범위가 궁금합니다. [1] 757
636 반도체 METAL ETCH 시 CH4 GAS의 역할. [1] 759
635 RPS를 이용한 유기물 식각장비 문의 [1] 767
634 코로나 전류에 따른 발생되는 이온의 수와, 하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770
633 안녕하세요 OLED 증착 시 궁금한점이있어 문의드립니다 [2] 770
632 주파수 증가시 플라즈마 밀도 증가 [1] 773
631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1] 778
630 Hollow Cathode glow Discharge 실험 관련해서 여쭤보고싶습니다. [1] file 783
629 RF 주파수에 따른 차이점 [1] 791
628 플라즈마 용어 질문드립니다 [1] 796
627 새집 증후군 없애는 플러스미 - 플라즈마에 대해서 [1] 79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