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 Plasma 대기압 상태의 플라즈마 측정

2004.07.02 00:34

이석근 조회 수:19734 추천:317

질문 ::

자주 들어와 보지만 처음으로 글을 쓰네요.
들어와서 보면 참으로 좋은 글들이 많고 유용한 내용들로만 이루어져 있는 것 같아 좋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다니는 회사는 전원장치 즉 플라즈마에 사용될 수 있는 전원장치(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판매 중에 있는 제품입니다.)의 플라즈마 생성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제가 다니는 회사에 없고, 그만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혹시 플라즈마 상태의 평가를 받았으면 좋을 것 같은 생각에 우선 물어봅니다. 제일 궁금한 점은 저희 회사에서 만드는 제품이 현장에서는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말씀들을 하시는데 과연 얼마나 좋은지 다른 문제점은 없는지 알고 싶어서 혹시 평가의뢰를 하게 되면 그 절차와 방법좀 알고 싶습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 ::

대기압 플라즈마의 특성을 직접 측정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이유는 대기압에서는 플라즈마 밀도도 높지만 개스입자와 전자의 충돌성이 매우 높아 평형상태가 국부적으로 이뤄지기도 하며 발생도 전체적이지 못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플라즈마 특성이 쉽게 바뀌기 때문입니다. 일단 이런 변동값을 무시한 채로 평균적인 값을 측정하곤 하는데 위의 충돌성을 고려한 여러가지 모델을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개발되는 측정법으로는 반응시 나오는 빛을 이용하거나 레이져를 투사하여 반응되는 빛의 값을 이용하거나 실제 탐침을 이용하여 측정이 가능할 것 입니다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량적인 값을 얻기란 매우 어렵고 단지 정성적인 경향을 추론하려 한다면 가능할 것 입니다. 본 실험실에서도 이 같은 방법으로 대기압 플라즈마의 특성을 엿보고 있습니다.

본 실험실에서는 탐침을 주로 많이 사용하고 OES 등을 이용하여 발생 특성을 관찰합니다. 대부분의 상압 플라즈마의 경우 진단 장치를 설치하기가 수월치 않아서 장치의 특성이 고려된 설치가 필요하게 되며 이에 소모되는 시간이 길어지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저진공 플라즈마의 경우에는 반응기가 진공장비 규격에 의해서 제작되어 있음으로 다양한 형태의 대기압 장비에 비해서 설치가 비교적 쉽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05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375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28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33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32
221 RF Antena와 Matcher 間 상관관계 문의드립니다. [1] 1021
220 전자 온도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1020
219 고진공 만드는방법. [1] 1018
218 anode sheath 질문드립니다. [1] 1011
217 아래 382 번 질문에 대한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1007
216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1001
215 CCP에서 접지된 전극에 기판을 놓았을 때 반응 [1] 1001
214 Tungsten 표면 Contamination 제거(실명재등록) [1] 981
213 RF tune position 과 Vrms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1] 980
212 Shield 및 housing은 ground 와 floating 중 어떤게 더 좋은지요 [2] 979
211 3-body recombination 관련 문의드립니다. [2] 978
210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기 개발 문의 件 [1] 972
209 O2 Plasma 에칭 실험이요 [1] 969
208 상압플라즈마 제품 원리 질문드립니다 [2] 962
207 플라즈마 기초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944
206 안녕하세요 플라즈마의 원초적인 개념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1] 939
205 플라즈마 구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궁금합니다. [1] 934
204 Plasma Generator 관련해서요. [1] 913
203 플라즈마 세정 장비 (CCP구조)에서 자재 로딩 수에 따른 플라즈마 효과 및 Discolor [1] file 906
202 RF 전압인가 시 LF와 HF 에서의 Sheath 비교 [1] 90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