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RF 저온 플라즈마 발생장비를 사용하고 있는데, 수중 속에서 오존을 발생시키려면 어떠한 조건이 필요한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해당 RF 저온 플라즈마 발생장비는 방전관 내부와 방전관 표면의 유리에서 방전이 일어나게 되고, 해당 Tip을 다시 표면이나

인체 피부에 접속 시, 유리방전관과 인체 피부 사이에서 방전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방전관과 피부 사이를 지나는 공기 속의 산소가

전기적 에너지와 충돌하고, 결국 O2 에서 O+O로 분리되며, 분리된 O가 분리되지 않은 O2와 재결합하는 과정(O2 + O -> O3)에서

오존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해당 플라즈마 방전 Tip을 20ml 정도의 수중 속에 넣어서 전압을 인가 하였을 때, 표면에서 일어나는 플라즈마 에너지로

수중 내 이온들을 분리시켜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물은 D.W를 사용하였습니다).

오존은 기체다 보니 해당 장치로 플라즈마를 인가하면 수중 속 분자(H2O) 들이 이온화 되면서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일부 오존들이 만들어지고, 기포가 조금이라도 발생할 줄 알았는데, 아무런 변화가 없었습니다.

혹시 수중 속 이온들을 이온화 시키기 위해 필요한 플라즈마 에너지가 부족한 것일까요?


자료들을 찾아보니, 과산화수소(H2O2), 에어버블을 이용해서 저온 플라즈마 장치를 수중 속에 넣게 되면 오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해서, 과산화수소(35%) 원액속에도 담궈봤는데 아무런 변화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해당 플라즈마 장치가 이온화를 시킬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 또는 조건성립이 부족했던건 아닌가 생각이 드는데, 혼자 고민하다가 여기 질문방을 찾게 되었고, 의견을 받고 싶어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혹시 설명이 부족하면 더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90] 77355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51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3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7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3001
431 플라즈마 self bias 값과 압력, 파워의 상관관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2182
430 양극 코로나 방전에 대한 질문입니다. [1] 2190
429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2190
428 ESC 표면 온도랑 식각률의 차이가 어떤 관계로 있는걸까요?? [1] 2191
427 부도체를 타겟으로 한 플라즈마 형성 원리 [1] 2266
426 플라즈마볼 제작시 [1] file 2275
425 Etch 공정 Dummy 사용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1] 2284
424 RF frequency와 다른 변수 상관관계 질문 2299
423 ECR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2314
422 e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1] 2318
421 CCP plasma에서 gap과 Pressure간의 상관관계 [1] 2349
420 Dry etch 할때 센터와 사이드 etch rate [1] 2353
419 N2 Plasma 상태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2355
418 Wafer particle 성분 분석 [1] 2356
417 플라즈마 세라믹코팅후 붉은 이유는? 2363
416 sputtering gas에 따른 플라즈마 데미지 [1] 2364
415 Ta deposition시 DC Source Sputtreing 2366
414 Etch공정(PE mode) Vpp 변동관련. [1] 2370
413 교수님 안녕하세요, icp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2] 2382
412 플라즈마 깜빡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239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