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CVD로 탄소화합물을 합성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만, 진공장치, 플라즈마에 대해서는 전공분야가 아니다 보니 원천기술이 많이 부족합니다.


알곤 분위기의 CVD장비로 수소와 탄소 등의 가스를 사용하여 탄소화합물을 만들때 챔버 내부의 오염이 공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추정하기를 챔버 내부의 산소 또는 수분의 영향으로 짐작하고 있습니다.

1. 챔버의 진공도를 어느 정도 낮추어야 산소나 수분의 영향을 거의 없도록 할 수 있을까요? 물론 UHV까지 낮추면 좋겠지만, 통상 10 -6승에서 10 -3승까지 운용하고 있는데, 이 정도의 진공도에서 산소나 수분의 영향이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2. 완전한 고진공(UHV)로 내리는 것 말고 산소나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있는지요?

3. 챔버 내벽에 산소나 수분이 붙어 있다고 해도, 챔버 내부로 떨어져 공간에 있지 않다면(물론 내벽에서 떨어지면 공간에 있겠지만, 진공을 계속 뽑는중이라 제거가 되지 않는지?) 챔버 내부의 샘플에 영향을 줄지 아니면 외부로 배출되는 확률이 높은지 알 수 있을까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30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50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54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89
» 진공장치 챔버내 산소 또는 수분 제거 방법에 대해 [1] 3903
349 the lines of magnetic  induction are frozen into the perfectly conducting material에 대한 질문 [1] file 3979
348 Plasma 식각 test 관련 문의 [1] 3997
347 RIE에서 O2역할이 궁금합니다 [4] 4042
346 HF + LF 사용 중, LF와 POWER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1] 4053
345 Deposition 진행 중 matcher(shunt,series) 관계 질문 [3] 4056
344 ICP plasma에서 RF bias에 대한 문의가 있습니다 [2] 4068
343 RPSC 관련 질문입니다. [2] 4105
342 SiO2 박말 밀도와 반응성 간 상관 관계 질문 [1] 4186
341 RF chamber에서.. particle(부유물) 와 RF reflect power연관성 [1] 4285
340 Dry Etching Uniformity 개선 방법 [2] 4354
339 플라즈마 색 관찰 [1] 4370
338 ESC 사용하는 PVD 에서 Center tap bias의 역할 4402
337 챔버내 Arcing 발생 개선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 4654
336 Sheath 길이와 전자의 온도 및 MFP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4903
335 매쳐에서의 load, tune에 대하여 좀 가르쳐 주세요~ [1] 5156
334 RF power에 대한 설명 요청드립니다. [1] 5251
333 CCP 설비에서 Vdc, Vpp과 Power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file 5416
332 SiO2 식각 위한 Remote Plasma Source관련 질문 드립니다. [1] 5502
331 DRAM과 NAND에칭 공정의 차이 [1] 552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