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관련 공부를 하고 있는 취업준비생입니다.

ICP 장비를 공부하다가 궁금한점이 생겨서 질문 올립니다.

1. ICP장비는 소스파워로 이온 밀도를 조절하고, 바이어스 파어로 이온 에너지를 조절한다고 하는데, 소스파워는 이해가 가는데

바이어스 파워로 이온 에너지를 조절한다는 메커니즘이 이해가 안갑니다. 블로킹 커패시터를 달아서 한다고 하는데, 이해가 안가네요..


2. capacitive coupling이라는 현상으로 인해 벽이 스퍼터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이 벽이 스퍼터 된다는게

플라즈마가 균일하지 않게 된다는 말일까요?


3. 이 질문은 PE CVD 관련 질문인데요, PECVD를 진행할 때 전극 면적비를 같게 하는 이유가 라디칼을 이용한 증착 방법이기 때문에

   이온의 영향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렇게 생각했는데, 제 생각의 논리가 맞을지 궁금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10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0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1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54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69
441 압력, 유량과 residence time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2007
440 chamber impedance [1] 2022
439 CVD (CCP) 공정의 Chamber seasoning과 플라즈마 밀도 [1] 2024
438 플라즈마 에칭 과 표면처리 의 차이점 질문드립니다. [1] 2030
437 식각 시 나타나는 micro-trench 문제 [1] 2036
436 RPG Clean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2] 2043
435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1] 2079
434 LF Power에의한 Ion Bombardment [2] 2110
433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2124
432 ESC 표면 온도랑 식각률의 차이가 어떤 관계로 있는걸까요?? [1] 2128
431 [질문] Plasma 장비에 대한 Monitoring 질문 [2] 2144
430 플라즈마 관련 기초지식 [1] 2154
429 플라즈마 self bias 값과 압력, 파워의 상관관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2157
428 양극 코로나 방전에 대한 질문입니다. [1] 2182
427 Etch 공정 Dummy 사용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1] 2253
426 부도체를 타겟으로 한 플라즈마 형성 원리 [1] 2255
425 플라즈마볼 제작시 [1] file 2263
424 ECR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2276
423 e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1] 2286
422 RF frequency와 다른 변수 상관관계 질문 229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