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제의 건 관련하여 막질 전문가님께 질문드립니다.

SiO2 공정 조건에 따른 막질을 해석하려고 하는데요.

그 방법 중 하나로 FTIR 측정을 이용한 분석입니다.

통상 SiO2는 SiO Symmetric와 Asymmetric 2개의 Peak 중첩되서 나오는데요.

질문입니다.

Symmetric이 강한 결합이고, Asymmetric이 약한 결합이라고 하는데...

FTIR X축은 cm-1(카이저)로 E=hv로 계산하면 결국 에너지입니다.

Symmetric은 약 1030cm-1이고, Asymmetric은 1170cm-1이니, Asymmetric이 좀 더 강한막이고, 이 Peak의 가오시안 분포 면적이 많으면 좋은 막 아닌가요?

아니면, 다른 각도로 해석하면 Asymmetric 비대칭구조는 흔히 극성분자라고 해서 양전하와 음전하가 균형을 이루지 않고 한쪽에 치우쳐 존재하는 상태를 말하죠.

즉, 다시말해서 Symmetric은 무극성 대칭구조이고, 양전하 음전하가 균형을 이루고 있고, 이는 다른 분자와의 상호작용이 극성 분자에 비해 낮기때문에 상대적으로

비대칭구조분자 보다는 안정적이다. 이렇개 해석을 해도 되는지요.

좀 헷갈리네요.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32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50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7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6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92
770 플라즈마 온도 27864
769 DBD란 27790
768 플라즈마 상태와 RF MATCHING관계 문의 사항 27684
767 플라즈마 챔버 의 임피던스 관련 [2] 27251
766 이온과 라디칼의 농도 file 27077
765 self bias (rf 전압 강하) 26804
764 공정챔버에서의 아킹 및 노이즈 문제... [2] 26517
763 OES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1] 26361
762 dechucking시 Discharge 불량으로 Glass 깨짐 [3] 26286
761 충돌단면적에 관하여 [2] 26234
760 스퍼터 DC 파워의 High 임피던스가 무슨 의미인가요? 25602
759 PECVD 매칭시 Reflect Power 증가 [2] 25002
758 Reflrectance power가 너무 큽니다. [1] 24931
757 스퍼터링에서 DC bias의 감소 원인이 궁금합니다.. 24918
756 plasma와 arc의 차이는? 24908
755 ICP Source에서 RF Source Power에 따른 위상차와 임피던스 변화 문의 [1] 24798
754 RF 플라즈마 챔버 내부에서 모션 구동 [1] 24790
753 H2/O2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꼭 답변점... [1] 24722
752 반도체 CVD 공정의 ACL공정에서 RF Reflect Power에 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file 24667
751 플라즈마가 불안정한대요.. 2453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