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교수님. 전자과 3학년 학부생입니다.

최근 탐침에 대해 관심이 생겨 공부하던 중, EEDF(EEPF)라는 개념을 접하게 되었는데,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공정에 쓰이는 저온 플라즈마의 경우, 입자간 충돌이 상대적으로 적어 입자간 열평형을 이루지 않고, 전자의 경우 maxwellian 분포를 가정한다고 알고있었습니다.

최근 읽은 자료에 따르면,  공정 플라즈마는 non-maxwellian인 경우가 많고, 이는 logEEPF의 기울기를 통해 알 수 있다고 합니다.

 

1. LogEEPF의 기울기라 함은, 전자온도를 의미하는데, 전자 에너지의 대푯값인 전자온도가 두가지인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Non maxwellain 분포가 발생하는 원인이 궁금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하나의 원인은, 고에너지의 전자는 쉬스의 voltage barrier을 뚫고 들어가 가열되므로 고에너지 전자의 전자온도(기울기)가 증가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29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9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4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88
70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file 378
69 PECVD 고온 공정에서 증착 막으로의 열전달 관련 문의드립니다. [1] 372
68 플라즈마 에너지가 온도를 높혀주는 역할 [1] 355
67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347
66 RIE Gas 질문 하나 드려도될까요? [1] 346
65 RF sputter 증착 문제 질문드립니다. [1] file 343
64 Plasma 장비 소재 특성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339
63 E-field plasma simulation correlating with film growth profile [1] 337
62 공정 진행 중 의도적인 섭동 효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328
61 RIE 설비 관련 질문 좀 드려도 될까요? [1] 318
60 메틸기의 플라즈마 에칭 반응 메커니즘 [1] 309
59 Etch Plasma 관련 문의 건.. [1] 298
58 RF 스퍼터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293
57 파장길이와 동축 케이블 길이 관련 문의드립니다 [2] 290
56 gas에 따른 deposition rate 및 저항질문 있습니다 [1] 286
55 ICP에서의 Self bias 효과 [1] 281
54 대기압 플라즈마 문의드립니다 [1] 276
53 GWP(Global warming potential)에 따른 Etch gas 변화에 대한 질문 [1] 268
» Non-maxwellian 전자 분포의 원인 [1] 266
51 Cu migration 방지를 위한 스터디 [1] 256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