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최근에 플라즈마 코팅관련 회사에 입사하여 현재 플라즈마 공부중 입니다.

현재 VPS장비로 테스트 중인데 0~1 torr 보다 30~50 torr 일 떄 플라즈마제트의 모습이 훨씬 안정적인 이유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0~1 torr 일 때는 플라즈마의 형상이 지나치게 두껍고 불안정적인 모습입니다. 반면 챔버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켰을 때는 훨씬 안정적이고

얇은 플라즈마의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이를 residence time과 관련해서 이해를 해야할까요?

아직 많은 논문들을 찾진 못했지만 대부분의 논문에서도 30~300 torr로 실험한 조건들이 많아 보였습니다.

또 다른 한가지 질문은 VPS 공정에서 분위기가스 즉 챔버내를 아르곤같은 불활성기체로 채워주는 이유는 단순하게 산화나 질화등을 막기

위함인가요? 분위기가스의 역할을 어떻게 정의하면 될까요?

기초적인 질문 죄송합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12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17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28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6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87
258 Plasma 장비 소재 특성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326
257 RF sputter 증착 문제 질문드립니다. [1] file 332
256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342
255 plasma off시 일어나는 현상 문의드립니다 [1] 372
254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file 377
253 plasma modeling 관련 질문 [1] 391
252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file 394
251 standing wave effect, skin effect 원리 [1] 418
»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429
249 플라즈마 공정 후, 친수성으로 변한 표면의 친수성 제거 [1] 429
248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444
247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451
246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452
245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453
244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1] 455
243 스퍼터링 Dep. 두께 감소 관련 문의사항 [1] 465
242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468
241 코로나 방전 처리 장비 문의드립니다. [1] 473
240 (PAP)plasma absorption probe관련 질문 [1] 486
239 자외선 세기와 결합에너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49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