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석사과정을 진행중인 학생입니다. 

RIE에 대하여 공부하다 해결되지 않는 사항이 있어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ion theath thickness와 MFP와의 관계에 따라 ion directionality가 달라지고, ARDE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 까진 학습하였습니다.(차일드-랭뮤어의 식)


1. Ion의 mass에 따라 sheath thickness가 변하는데, sheath thickness가 ion 가속, MFP, Vdc(self bias)에 끼치는 영향이 있는지 여쭙고자 합니다.
(Ion mass --> sheath thickness변화 ==> ion 가속영향? / MFP 영향? / Vdc 영향?..아니면 그 자체로는 다른 parameter에 영향이 없는지..)


2. RIE에서 wafer(electrode)의 open area의 경우, ion flux와 electron flux가 같다고 학습하였습니다.

이때 gas를 바꾸었을 때 ion의 mass가 바뀌었을 때,(ex, F --> Br) ion flux가 동일한지, 그렇다면 동일 flux이므로 wafer incident ion energy는 mass가 증가한 만큼 증가하게 되는지, electron의 energy가 ion의 mass나 이온화E에 영향이 있는지 여쭙고자 합니다. (속도가 동일하므로, mass증가에 따라 ion의 kinetic E 증가하는지...)


조금 두서없이 썼지만, 공부하는 중 해결이 잘 되지않아 교수님께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10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0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1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5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72
198 Shield 및 housing은 ground 와 floating 중 어떤게 더 좋은지요 [2] 980
197 아래 382 번 질문에 대한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1007
196 전자 온도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1020
195 플라즈마 코팅 [1] 1043
194 진학으로 고민이 있습니다. [2] 1044
193 DC Plasma 전자 방출 메커니즘 1050
192 Decoupled Plasma 관련 질문입니다. [1] 1065
191 공정 진행 중간에 60Mhz만 Ref가 튀는 현상 관련하여 어떤 이유들이 있을까요..? [2] 1107
190 자기 거울에 관하여 1146
189 플라즈마 주파수 예측관련 질문드립니다 [1] 1146
188 wafer bias [1] 1150
187 잔류시간 Residence Time에 대해 [1] 1151
186 Group Delay 문의드립니다. [1] 1155
185 MFP와 Sheath 관련하여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1158
184 전자 온도 구하기 [1] file 1163
183 쉬쓰 천이지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1168
182 플라즈마의 직진성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 1248
181 플라즈마 형성시 하전입자의 밀도와 챔버에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2] 1259
180 RF Power 인가 시 Gas Ramping Flow 이유 [1] 1277
179 플라즈마 기초입니다 [1] 1296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