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우주 플라즈마

2004.06.19 17:10

관리자 조회 수:14787 추천:246

전 우주를 대상으로 생각하면 우주는 약 99%의 플라즈마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항성/ 행성등을 제외한 공간 내는 마치 낮은 밀도의 플라즈마로 꽉 차 있는 것 같지요. 이 플라즈마가 지구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극 지방에서는 오로라를 형성하기도 합니다 (우리가 우주 플라즈마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오로라는 우주에서의 플라즈마 내의 하전 입자들이
지자기장에 의해 구속되며 지구표면으로 입사하기 시작하면서 계단형의 전위 분포를 갖은 multilayer을
통과하면 그 계단 단위의 전위차이에 상응하는 빛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입니다. 이 부분에 관심있는 분들은
Double layer라는 key word로 조사하여 보기 바랍니다. 아무튼 우주의 물질이 플라즈마 상태를 유지
하고 있음은 우주의 생성 혹은 별의 생성, 태양의 생성과 지구등의 생성등과 관련이 있는 내용이 될 것
입니다. 즉 수소 핵들의 결합으로 무거운 핵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그 자체로 핵융합 반응의 연속입니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 상태가 요구되고..... 자 우주의 99%가 플라즈마 상태를
띠고 있다는 사실이 무었을 의미할까요?

지상에서는 플라즈마 상태를 유지하기 힘듦니다. 따라서 대부분은 용기 내에 가두어 두고 있습니다.
이를 반응로라 이야기하며 우리는 플라즈마 상태를 이용해서 물질의 표면을 처리하기도 합니다. (옆의 한국
과학기술연구원 web site 참고) 또한 위의 핵융합 반응을 이용하여 열에너지를 얻고 이로부터 전기에너지를 만들어 쓰고자 하는 핵융합
발전소를 꿈꾸며 연구하고 있기도 합니다. (옆에 있는 기초과학기술연구원 web site 참조)..이런 관점으로
지상에서는 플라즈마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도 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0] 7715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32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37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84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05
158 O2, N2, Ar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2] 6307
157 OES를 활용한 excitation temperature 분석 질문입니다. [1] 5946
156 RF Vpp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5707
155 RF power에 대한 설명 요청드립니다. [1] 5209
154 Sheath 길이와 전자의 온도 및 MFP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4865
153 RF chamber에서.. particle(부유물) 와 RF reflect power연관성 [1] 4244
152 ICP plasma에서 RF bias에 대한 문의가 있습니다 [2] 4041
151 RIE에서 O2역할이 궁금합니다 [4] 3959
150 진공장치 챔버내 산소 또는 수분 제거 방법에 대해 [1] 3847
149 Descum 관련 문의 사항. [1] 3764
148 방전에서의 재질 질문입니다. [1] 3565
147 Gas 별 Plasma 색 관련 질문입니다. [1] 3526
146 Bias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3480
145 plasma sheath 두께의 영향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2] 3464
144 코로나 방전의 속도에 관하여... [1] 3450
143 RF Power와 균일도 연관성 질문드립니다. [2] 3414
142 electron energy distribution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3264
141 CVD 공정에서의 self bias [1] 3193
140 아르곤이나 기타 플라즈마 토치에 소량의 수증기를 집어넣으면 온도가 떨어지는 현상에 대해서 3167
139 PE 모드와 RIE 모드에서 쉬스 구역에 대한 질문 [1] 281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