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정보와 친절한 설명에 감사드리고 있는 회원입니다.

저는 물리 학사 / 신소재 석사 과정 중 플라즈마 이온 농도 측정, 플라즈마 파워에 따른 막질 분석 등

플라즈마 관련 논문을 작성하였고, 졸업 후에도 계속 플라즈마 관련 엔지니어로 근무 중에 있습니다.

오늘 플라즈마 관련, 한 가지 문의드리고자, 이렇게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Si precursor (TEOS)와 O2 Plasma를 이용한 CVD 반응을 통해 SiO2를 증착하는 Process인데,

문제는 최초 Plasma에 의해 Ion, Radical이 생성된 위치에서 너무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정규적인 SiO2 deposition 반응이 

일어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입니다.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자면,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위치에서 fore-line을 통해 연결된 펌프나 스크러버 내에서 

위에서 말씀드린 정규적인 SiO2가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공정 챔버에서 미 반응되어 남게되는 소스가 배관을 통해 밖으로 out될 수는 있다고 생각하나,

그 멀리 떨어진 외부에서 정규적인 SiO2 deposition 반응이 일어난다는게 쉽게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일단 플라즈마 소스에서 그 멀리 떨어져있다는 위치의 파우더를 XPS 분석 진행해 봤을 때, 

Pure한 SiO2 peak만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다른 위치에서는 SiO2가 있다 해도, 다른 성분들과 결합된 채로 존재하나,

플라즈마 소스에서 가장 멀리 있는 그 위치에서만은 SiO2만 분석됩니다. 

XPS 외에도 다른 근거도 있습니다만, 업무와 연관된 부분이라 공개가 어렵습니다.


하여 문의드리고 싶은 것은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된 이온이나 래디컬의 이동 거리에 따른 이온 또는 래디컬의의 농도 연구,

혹은 이동 거리에 따른 SiO2 등 증착 상태 연구에 관한 논문이나 자료 Reference 입니다.

현상이 너무 괴이하여 감히 원인 등에 대해 문의드리기가 어려울 것 같고, 대신 관련성이 깊지 않아도 좋으니,

연관된 논문, 특허 혹은 기타 자료에 대해 생각 나시는게 있으시다면 말씀을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32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50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7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6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92
179 플라즈마가 생기는 메커니즘에 대한 질문입니다. [1] 13084
178 [기초]CCP Type에서의 Self-Bias(-Vdc) + Vp (plasma potential) 관련 질문입니다. [1] 12826
177 플라즈마에 대해서 꼭알고 싶은거 있는데요.. 12380
176 플라즈마 살균 방식 [2] 11523
175 DC bias (Self bias) [3] 11373
174 플라즈마 PIC 질문드립니다. [1] 10406
173 Ion Energy와 RF matchin관련 질문입니다. [1] 9540
172 진공챔버내에서 플라즈마 발생 문의 [1] 9287
171 안녕하세요 교수님. [1] 9075
170 RF & DC sputtering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9038
169 Sheath와 Darkspace에 대한 질문입니다. [1] 8949
168 ICP와 CCP는 단순히 플라즈마를 생서하는 방법인가요? [1] 8816
167 Lecture를 들을 수 없나요? [1] 8586
166 핵융합에 대하여 8565
165 플라즈마 발생 억제 문의 [1] 8135
164 MFP에 대해서.. [1] 7850
163 플라스마 상태에서도 보일-샤를 법칙이 적용 되나요? [1] 6543
162 저온플라즈마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ㅠ [1] 6483
161 O2 plasma, H2 plasma 처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6477
160 플라즈마 기술관련 문의 드립니다 [1] 642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