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식각 관련 업무를 배우고 있는 엔지니어입니다. 알아본 바로는 LF일 때의 Sheath 영역이 HF일때보다 더 두껍다, 크다 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온의 이동성으로 생각해봤을 때, LF일 때가 HF일때 보다 이온이 반응할 수 있는 시간이 길고 이동이 더 가능하다. 즉, 이온의 밀집지역이 전극에서 더 멀어져있다, Sheath 영역이 더 두껍다 라고 이해했는데 이 생각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etch 진행시 LF power를 인가하면 Ion bombardment를 이용할 수 있다고 했는데, Sheath 영역이 더 두껍기 때문에 Ion을 끌어오기 더 용이해서라고 이해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0] 10187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457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11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148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312
261 안녕하세요 자문을 구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E x B drift] [1] file 755
260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방전 기전] [1] 822
259 RF sputter 증착 문제 질문드립니다. [OES 진단과 sputter yield] [1] file 561
258 plasma off시 일어나는 현상 문의드립니다. [DC 바이어스 전압과 쉬스 전기장] [1] 592
257 Arcing과 Self-DC Bias Voltage 상관 관계 [Self bias와 DC glow 방전] [1] 1147
256 RF 스퍼터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장비 분해 리빌트 및 테스트] [1] 552
255 Sheath와 Plasma Bulk에 걸리는 전압 관련 문의 [Sheath impedance] [1] 914
254 Plasma Reflect를 관리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임피던스 매칭] [1] 1176
253 Lxcat dataset에 따른 Plasma discharge에 대한 질문입니다. [CX 데이터] [1] 334
252 플라즈마 공정 후, 친수성으로 변한 표면의 친수성 제거 [공정 조절과 CF4 계열 플라즈마] [1] 647
251 corona model에 대한 질문입니다. [준중성과 저압플라즈마] [1] 328
250 플라즈마 제균 탈취 가능 여부 [대기압 환경 플라즈마와 라디컬 분포] [1] 454
249 plasma 공정 중 색변화 [플라즈마 진단과 분광학] [1] 1259
248 E-field plasma simulation correlating with film growth profile [플라즈마 확산과 밀도 분포] [1] 545
247 self bias [쉬스와 표면 전위] [1] 799
246 Self bias 내용 질문입니다. [쉬스와 표면 전위] [1] 1233
245 실리콘 수지 코팅 Tool에 Plasma 클리닝 시 코팅 제거 유/무 [대기압 플라즈마, highly collisional plasma] [1] 404
» RF 전압인가 시 LF와 HF 에서의 Sheath 비교 [Plasma sheath, Stochastic heating] [1] 1417
243 plasma modeling 관련 질문 [Balance equation] [1] 558
242 플라즈마 주파수 예측관련 질문드립니다 [Global model과 Balance equation] [1] 139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