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교수님. 전자과 3학년 학부생입니다.

최근 탐침에 대해 관심이 생겨 공부하던 중, EEDF(EEPF)라는 개념을 접하게 되었는데,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공정에 쓰이는 저온 플라즈마의 경우, 입자간 충돌이 상대적으로 적어 입자간 열평형을 이루지 않고, 전자의 경우 maxwellian 분포를 가정한다고 알고있었습니다.

최근 읽은 자료에 따르면,  공정 플라즈마는 non-maxwellian인 경우가 많고, 이는 logEEPF의 기울기를 통해 알 수 있다고 합니다.

 

1. LogEEPF의 기울기라 함은, 전자온도를 의미하는데, 전자 에너지의 대푯값인 전자온도가 두가지인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Non maxwellain 분포가 발생하는 원인이 궁금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하나의 원인은, 고에너지의 전자는 쉬스의 voltage barrier을 뚫고 들어가 가열되므로 고에너지 전자의 전자온도(기울기)가 증가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9] 10138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34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0988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297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034
281 DC Arc Plasma Torch 관련 문의 [1] 257
280 RF플라즈마에서 quasineutral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질문글 올립니다.[quasineutral] [1] file 533
279 ICP/CCP 플라즈마 식각 공정 개발 [Plasma sheath 및 Plasma generation] [1] 844
278 플라즈마 사이즈 측정 방법 [플라즈마 분포 측정 및 산포 평가] [1] 383
277 PECVD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조언 구합니다. 278
276 Druyvesteyn Distribution 324
275 C2H2 플라즈마코팅시 가스 원인과 대책 115
274 진공 챔버에서 Plasma Off시 Particle의 wafer 표면 충돌 속도 [Sheath energy] [1] 430
» Non-maxwellian 전자 분포의 원인 [Druyvesteyn distribution 이해] [1] 792
272 플라즈마 밀도와 라디칼 [플라즈마 충돌 반응] [1] 968
271 Microwave & RF Plasma [플라즈마 주파수와 rate constant] [1] 664
270 RF generator의 AMP 종류 질문입니다. [RF Power] [1] 357
269 챔버 내 전자&이온의 에너지 손실에 대해 [에너지 균형과 입자 균형식] [1] 380
268 DBD 플라즈마 작동 시 유전체에 가해지는 데미지 [상압플라즈마 소스] [1] 318
267 플라즈마를 이용한 물속 세균 살균 질문드립니다. [Bactericidal 이해] [2] 338
266 플라즈마를 알기 위해선 어떤 과목을 공부해야 할까요? [Glow discharge process 이해] [1] 995
265 standing wave effect, skin effect 원리 [Maxwell 방정식 이해] [1] 880
264 Plasma 장비 소재 특성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DC breakdown 및 sheath] [1] 569
263 RF 주파수에 따른 차이점 [이온 및 전자 주파수 선택] [1] 1333
262 안녕하세요, RPS나 DEPOSITION 간에 발생하는 ELECTRON TEMPERATURE가 궁금합니다. [플라즈마 충돌 반응] [1] 81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