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교수님. 전자과에 재학중인 3학년 학부생입니다.

 

EEDF에서 Bi-maxwellian과 Druyvesteyn 분포가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데,

Bi-maxwellian 분포는  저압에서 나타나고, 낮은 에너지 그룹의 전자들에 대한 EEDF가 하락하며,

반면 Druyvesteyn 분포는 고압에서 나타나고, 높은 에너지 그룹의 전자들에 대한 EEDF가 하락한다고 알게 되었습니다.

 

Bi-maxwellian 분포에서 낮은 에너지 그룹의 전자들에 대한 EEDF가 하락하는 것은, E-mode에서는 낮은 에너지의 전자들이 쉬스 내로 진입하지 못하고, H-mode에서는 Skin depth 내로 진입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Skin layer와 Sheath의 region이 겹치므로)

다만 이것이 '저압'과 무슨 관계가 있는지는 잘 떠오르지 않습니다.

+) 이러한 접근이 아닌, 저압=저밀도 플라즈마=E-mode, 고압=고밀도 플라즈마=H-mode로 해석해야 할까요?

 

Druyvesteyn 분포에서 높은 에너지 그룹의 전자들에 대한 EEDF가 하락하는 것은, 고압의 경우 전자-중성종의 충돌 주파수가 RF 주파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을 것이고, 높은 에너지의 전자들은 이러한 충돌이 더욱 빈번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얻기 힘들다고 생각해보았는데, 맞는 접근 방법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11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11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2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6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83
278 PECVD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조언 구합니다. 41
» Druyvesteyn Distribution 31
276 C2H2 플라즈마코팅시 가스 원인과 대책 27
275 새삼스럽지만 챔버 내에 전류의 정의를 여쭤보고싶습니다. [1] 113
274 진공 챔버에서 Plasma Off시 Particle의 wafer 표면 충돌 속도 [1] 116
273 Non-maxwellian 전자 분포의 원인 [1] 240
272 플라즈마 밀도와 라디칼 [1] 323
271 Microwave & RF Plasma [1] 151
270 RF generator의 AMP 종류 질문입니다. [1] 129
269 챔버 내 전자&이온의 에너지 손실에 대해 [1] 143
268 DBD 플라즈마 작동 시 유전체에 가해지는 데미지 [1] 146
267 플라즈마를 이용한 물속 세균 살균 질문드립니다. [2] 198
266 플라즈마를 알기 위해선 어떤 과목을 공부해야 할까요? [1] 682
265 standing wave effect, skin effect 원리 [1] 418
264 Plasma 장비 소재 특성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326
263 RF 주파수에 따른 차이점 [1] 765
262 안녕하세요, RPS나 DEPOSITION간에 발생하는 ELECTRON TEMPERATURE가 궁금합니다. [1] 496
261 안녕하세요. 자문을 구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1] file 527
260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1] 453
259 RF sputter 증착 문제 질문드립니다. [1] file 33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