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상압 플라즈마와 관련하여 몇가지 문의 드릴려고 합니다.

1. 헬륨 가스를 이용하여 상압 플라즈마를 발생 시켰을때, 헬륨 이온이 생성 될때 발생하는

    전자로 인하여 공기중의 다른 원소들이 이온화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럼 이온화된

    헬륨은 인체 또는 공기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문의 드립니다.

 

2. 텅스텐을 세라믹으로 감싼 전극과 아노다이징 된 알루미늄 사이(0.5mm)에 물 미립자를 통과 시켜서

    -OH 라디칼 이온을 만들려고 했는데, 오존이 종종 발생 됩니다. 전극에서 전달된 에너지가

    -OH 라디칼 이온과 오존 중 어떤 걸 먼저 만들어 내는지 알 수 있을까 해서요..

 

우선은 두가지 문의 드립니다.

제 이메일 주소는 vngkgk11@gmail.com 입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31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50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58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91
46 라디컬의 재결합 방지 [1] 834
45 ECR ion source에서 plasma가 켜지면 RF reflect가 심해집니다. [2] 830
44 DBD Plasma Actuator 원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826
43 Si Wafer에 Plasma를 처리했을때 정전기 발생 [1] 820
42 방전수 활성종 중 과산화수소 측정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819
41 새집 증후군 없애는 플러스미 - 플라즈마에 대해서 [1] 803
40 주파수 증가시 플라즈마 밀도 증가 [1] 799
39 Remote plasma source의 주파수 400kHz 이유 [1] 799
38 반도체 METAL ETCH 시 CH4 GAS의 역할. [1] 780
37 코로나 전류에 따른 발생되는 이온의 수와, 하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774
36 RPS를 이용한 유기물 식각장비 문의 [1] 771
35 ICP 대기압 플라즈마 분석 [1] 733
34 N2 GAS를 이용한 Plasma에 대한 질문 [1] 690
33 챔버 시즈닝에 대한 플라즈마의 영향성 [1] 635
32 진공수준에 따른 RF plasma 영향 관련 질문 [1] file 634
31 CCP RIE 플라즈마 밀도 [1] 609
30 연속 Plasma시 예상되는 문제와 횟수를 제한할 경우의 판단 기준 [1] file 605
29 조선업에서 철재절단용으로 사용하는 가스 프라즈마에 대한 질문 [1] 582
28 핵융합 질문 [1] 578
27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53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