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dry etch 관련 업종에서 일하는 직장인 입니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궁금증이 있어 자문을 구하고자 합니다.

ETCH 공정이후 ASHING공정을 연속 PLASMA를 사용하여 스텝을 전환하는데요,

Ashing 공정으로 전환시 source reflect가 수준이 약해 매끄럽게 매칭이 되는 경우가 있는 반면, reflect 수준이 강하여 rf power drop이 발생하며 매칭이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경우 심하면 esc에 arc가 주로 발생을 하는데...원인을 찾기가 어렵네요...

 

Matcher 파라미터(위상)변경 및 제너레이터 교체, esc교체 등을 해보았으나 여전히 power drop 현상이 남아있습니다. 여러개의 챔버를 대상으로 power drop 빈도수를 확인해보면 어떤 챔버는 power drop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어떤 챔버는 약  10%확률로 power drop이 발생합니다.

 

연속 plasma 공정 특성상 가스종류 및 프레셔가 급변하여 reflect가 발생은 예상했지만, 챔버별로 유의차가 나오니 원인을 trace 중입니다.

 

추정원인으로

-icp구조의 안테나측 capacitor가 내전압특성을 잃어서?

-Gas 종류의 변동(ar->o2)으로 esc chuck력이 약해져서?

로 생각이 되는데...relecct가 심하면 esc arc까지 발생되는 이유가 있을까요?

문제 해결을 위해 조언을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2] 7718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5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5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9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37
84 ICP와 CCP에서의 Breakendown voltage [1] 1785
83 N2 Blowing Ionizer 사용 시 궁금점 질문 드립니다. [1] 1836
82 가입인사드립니다. [1] 1881
81 유도결합 플라즈마 소스 질문!!!? [2] 1914
80 RF generator 관련 문의드립니다 [3] 1967
79 Remote Plasma 가 가능한 이온 [1] 1989
78 안녕하세요 ICP dry etching 관련 질문사항드립니다! [1] 1998
77 RPG Clean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2] 2056
76 ECR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2289
75 CCP plasma에서 gap과 Pressure간의 상관관계 [1] 2326
74 교수님 안녕하세요, icp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2] 2363
73 RF 주파수와 공정 Chamber 크기의 상관관계 [1] 2399
72 Ar과 O2 plasma source에 따른 ignition condition에 대하여 질문 있습니다. [1] 2400
71 RPS를 이용한 SIO2 에칭 [1] 2422
70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2] 2507
69 수소 플라즈마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2684
68 플라즈마 밀도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2707
67 고온의 플라즈마와 저온의 플라즈마의 차이 [1] 3004
66 PP & PET 친수성과 접착성 유지 질문입니다. [1] 3345
65 RF plasma 증착 시 arcing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3460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