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중저전압 플라즈마방전을 이용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데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금형개발한 전극에 DC24를 인가하여 상수도수안에서 적당량의 미세기포를 발생시켰으며, 리스테리아균, 대장균등을 99.9% 이상의

살균결과를 얻었읍니다. 그런데, 해수의 비브리오균에 대한 살균여부를 문의한 바이어 요청으로, 

염도 1%의 물에 금형개발한 전극을 담그고, DC24V를 인가하였더니 미세기포가 상수도수에 비해 적게 발생하는 것입니다.

염도 1%(최대 2%)의 물에서, 금형수정없이, DC24V로  미세기포를 좀 더 생성시킬 방안이 없을까요??

(상수도수에서 전극에 걸리는 전류치는 4A수준임.) 

참고로, 1) 전기전도도가 높은 유체에서 미세기포가 덜 활성화되는 정확한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2) 상수도수에서 전류치가 4A가 걸리면, 염수에서는 어느정도가 될까요? 

*바쁘시더라도 꼭~~ 답변부탁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6] 7730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501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41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95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88
26 Plasma에 의한 분해 및 치환 반응(질문) [1] 526
» 해수에서 플라즈마 방전 극대화 방안 [1] file 521
24 plasma striation 관련 문의 [1] file 504
23 Tribo-Plasma 에 관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473
22 안녕하세요 CLEAN GAS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470
21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444
20 ICP 방식에서 RF Foward Power를 상향하면 ER이 빨라지는 이유 [1] 415
19 플라즈마 에너지가 온도를 높혀주는 역할 [1] 356
18 파장길이와 동축 케이블 길이 관련 문의드립니다 [2] 295
17 ICP에서의 Self bias 효과 [1] 281
16 대기압 플라즈마 문의드립니다 [1] 276
15 CCP장비 discharge 전압 및 전류 측정 방법 과 matcher 문제 관하여 [2] file 240
14 skin depth에 대한 이해 [1] 236
13 CF4/Ar 을 활용한 Si/SiO2 에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file 221
12 ICP에서 전자의 가속 [1] 196
11 Impedance I 값을 결정 짓는 요소 관련 질문 [1] 164
10 반사파에 의한 micro arc 질문 [2] 148
9 Si 와 SiO의 선택적 식각 관련 문의입니다. 140
8 RF magnetron Sputtering 공정에서의 질문 [1] 131
7 Showerhead와 Heater간 간격에 따른 RPC 효율성 [1] 131

Boards


XE Login